美 관세 불똥 맞은 소포
만성적 재정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미국으로서는 관세 수입을 늘릴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가디언 보도에 따르면 CBP가 중국과 홍콩에 대한 소액 소포 면세를 폐지한 이후 추가 관세 수입으로 4억9200만달러(약 6840억원)를 벌어들였다.
세계 각국의 우편 기관들은 미국이 행선지인 우편물과 소포의 발송을 줄줄이 중단했다. 지금의 국제 우편망 체계로는 모든 물품을 신고하고 관세를 계산해 납부하기 어려워서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독일 DHL을 포함해 덴마크, 스웨덴, 이탈리아, 스웨덴, 프랑스, 벨기에 등 상당수 유럽 국가에서 미국행 소포·우편물 접수를 중단했다. 멕시코, 인도, 태국, 싱가포르, 뉴질랜드 등도 대부분의 미국행 물품 발송을 멈췄다. 뉴욕타임스는 우편물을 보내지 못해 낭패를 겪은 이들의 사례를 소개하며 “세상이 멸망할 일은 아니지만 짜증 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앞으로 해외 우편 서비스 제공자들은 미국행 소포를 보낼 때 정식으로 세관 신고서를 작성하고 국가별 관세율을 적용해 요금을 징수해야 한다. 다만 계도 기간인 6개월 동안은 소포 한 건당 80~200달러의 정액 관세를 내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한국의 경우 상호 관세 15%가 적용되어 건당 80달러를 내면 된다. 그러나 UPS, 페덱스, DHL 등의 민간 물류 기업은 이런 우회로를 이용할 수 없고 정식으로 관세를 납부해야 한다.트럼프 “중국 저가품·마약류 반입에 악용”
![[임현우 기자의 키워드 시사경제] 애플·메타 잡아라…'삼성·구글 연합군' 참전](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403.3.jpg)
![[임현우 기자의 키워드 시사경제] 몸값 1000억弗 넘는 스타트업, 세계에 6개뿐](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069610.3.jpg)
![[임현우 기자의 키워드 시사경제] 가입은 쉽게, 탈퇴는 어렵게…美아마존의 꼼수](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1992937.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