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雅致高節 (아치고절)](https://img.hankyung.com/photo/202508/01.41546027.1.jpg)
雅: 바를 아
致: 이를 치
高; 높을 고
節: 마디 절
아담한 풍치와 고고한 절개
매화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안민영 시조 '매화사'>
아치고절(雅致高節)은 아치(雅致)와 고절(高節)을 합친 말이다. 고상하고 아담한 취향과 고고한 절개를 뜻하며, 매화를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사군자(四君子)’로 통하는 매란국죽(梅蘭菊竹)은 고결한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동양 문화권의 상징물이다. 군자라고 불린 이유는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의 아름다움을 높게 산 까닭도 있지만 각각 높은 기상과 품격을 지녔기 때문이다.
매화는 고상한 자태와 기품의 아치고절(雅致高節), 난초는 청아한 외관과 올곧은 품성의 외유내강(外柔內剛), 국화는 굳건하고 오뚝한 절개의 오상고절(傲霜孤節), 대나무는 한결같은 지조의 세한고절(歲寒孤節)의 품격을 지닌 것으로 표현된다.
고종 때 안민영이 지은 시조 ‘매화사’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빙자옥질이여 눈 속의 네로구나/ 가만히 향기 노아 황혼월을 기약하니/ 아마도 아치고절(雅致高節)은 너뿐인가 하노라.”
매화는 시서화(詩書畵)에서 주로 겉모양이 고상하고 담백한 느낌이 있고 기품이 느껴지는 자태로 표현된다. 은근하고 그윽한 분위기를 자아내 깊은 인상을 준다. 얼음같이 투명한 모습과 옥과 같이 뛰어난 바탕이라는 뜻인 빙자옥질(氷姿玉質), 신선의 자태에 옥의 바탕이라는 선자옥질(仙姿玉質), 은은한 향기가 떠다닌다는 암향부동(暗香浮動)은 모두 매화를 이르는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