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고령층 일자리는 대부분 단기, 저임금, 단순노동에 머물러 있다. 급여 수준이 높지 않을 뿐 아니라 개인의 자존감 유지나 사회적 관계 회복 측면에서도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생글기자 코너] 노인 일자리·돌봄 부족…온세대 함께 고민해야](https://img.hankyung.com/photo/202507/AA.41020092.1.jpg)
고령인구가 늘어나면서 연금, 의료, 돌봄과 같은 분야의 복지지출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고령인구가 증가하고 건강 상태가 개선되면서 일할 수 있는 노인도 늘어나고 있지만, 실제로 노인들이 구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는 충분하지 않다.
노인 고용은 단순한 경제 문제를 넘어 삶의 질과도 밀접하게 연결된다. 현재 고령층 일자리는 대부분 단기, 저임금, 단순노동에 머물러 있다. 이런 일자리들은 급여 수준이 높지 않을 뿐 아니라 개인의 자존감 유지나 사회적 관계 회복 측면에서도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공공근로, 환경 정비, 택배 분류 같은 업무는 체력적으로도 부담이 크고, 지속가능성 또한 낮다.
노인 돌봄 문제도 심각하다. 핵가족이 대세인 현대사회에서 노인의 건강과 안전을 돌볼 수 있는 사회적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다. 이에 따라 서울시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는 노인돌봄센터와 치매 어르신을 위한 전문 돌봄 시설 확충에 나서고 있다.
앞으로 우리는 고령자 1인이 또 다른 고령자를 부양해야 하는 시대를 맞을 수도 있다. 이런 변화에 대비하려면 청년 세대뿐 아니라 전 세대가 함께 고민하고 참여하며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초고령사회는 피하기 어려운 미래지만, 우리가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미래의 모습은 달라질 수 있다.
남승현 생글기자(고려고 3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