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머니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이하 저출산위)는 지난 6일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대 건강금융센터와 공동으로 진행한 ‘고령 치매 환자 자산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우리나라 인구의 2.4%인 치매 어르신이 국내총생산(GDP)의 6.4%에 맞먹는 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단은 2002년 이후 치매 진단을 받아 건강보험을 청구한 환자를 추려낸 다음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확보한 소득·재산 자료를 활용해 이들의 총자산 규모를 분석했다.
조사단에 따르면 국내 65세 이상 고령 치매 환자는 2023년 기준 124만398명이고, 이 중 자산을 보유한 사람은 61.6%인 76만4689명이었다. 이들이 가진 자산을 모두 더하면 153조5416억원으로 파악됐다. 치매 머니에는 부동산(113조7959억원)이 가장 큰 비중(71.4%)을 차지했으며 1인당 평균이 2억원 정도였다. 저출산위는 “인구 대비 치매 머니의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라며 “치매로 인한 자산동결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결코 적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치매 머니는 한국보다 앞서 고령화를 경험한 일본에서 생긴 말이다. 일본에서는 치매에 걸린 자산가가 급증하고 이들의 자산이 동결되면서 여러 사회·경제적 문제가 발생해왔다.
한국은 지난해 12월을 기점으로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노인인 초고령사회에 공식 진입했다. 조사단은 2050년이 되면 치매 환자가 396만7000명으로 늘면서 치매 머니도 지금보다 3배 이상 불어난 488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2050년 예상 GDP의 15.6%에 이르는 금액이다.“2050년 치매 머니 488조원 달할 것”이런 규모의 돈이 돌지 못하면 경기가 활력을 잃게 된다. 또 신탁, 후견인 등의 제도가 활성화되지 않는다면 자산을 처분할 방안이 마땅찮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