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호 활동적인, 즉 인터랙티브한 학습 환경도 조성할 수 있다. 기존 교과서보다 다양한 영상, 애니메이션, 시뮬레이션 등 멀티미디어 요소를 활용할 수 있어 학습 효과도 증대될 수 있다. 가령 AI 교과서는 실험을 직접 하기 어려운 과학 개념을 가상 실험으로 체험할 수 있게 해준다. 역사나 지리를 3D 모델링으로 탐험하는 생생한 학습도 가능하다.
실시간 피드백과 평가가 가능한 것도 장점이다. AI를 활용하면 학생의 학습 결과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문제 풀이 후 즉각적인 해설을 해줄 수 있다는 얘기다. 학습 패턴을 파악해 성취도를 분석한 후 학부모와 교사가 적절한 지도를 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AI는 숙제 채점, 기본 개념 설명 등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를 대신할 뿐 아니라 교사가 창의적인 학생을 지도하는 데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준다.
올해 중·고등학교보다 초등학교에서 AI 교과서를 채택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내신과 입시 부담이 중·고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백승아 의원실이 교육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학년도 1학기 기준 초등학교 3학년에서 AI 교과서를 채택한 학교는 수학 1813곳, 영어 1843곳이다. 이는 전체 학교 6339곳의 각각 28.6%, 29.1%에 해당하는 수치다.[반대] 경제적 격차 따른 학습 불평등 우려…AI 기술 한계·오류 가능성 유념해야AI 교과서의 한계와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우선 교사의 역할이 축소되고 의존성이 커질 수 있다. AI가 교사의 역할을 일부 대체하면 학생들이 AI가 없으면 공부를 제대로 하기 어려운 상황이 생길 수 있다는 얘기다. 교사들이 학생들을 정서적으로 지도하는 것도 줄어들 수 있다. AI의 한계로 인해 학생들이 창의적·비판적 사고 능력을 기르기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AI 기술의 한계와 오류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아직 AI는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편향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있다. 데이터 학습 과정에서 편향된 자료를 학습할 위험이 높다는 것이다. 실제 중국 딥시크는 시진핑 국가주석 등에 대한 질문에는 중국 중심의 다소 편향된 답을 내놓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제공할 경우 학생들이 잘못된 학습을 하게 될 수 있다. AI 알고리즘이 특정 기업이나 기관의 이익에 따라 조작될 여지도 있다.
정보 보안 및 프라이버시 문제도 불거질 수 있다. AI 교과서는 학생들의 학습 데이터를 지속해서 수집하기 때문에 개인정보 보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학습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될 경우 심각한 사생활 침해 문제가 벌어질 수도 있다.
교육의 상업화도 걱정되는 대목이다. AI 교과서는 기술을 제공하는 기업이 운영하므로 교육의 공공성에는 신경을 덜 쓸 수 있다. 교육자료가 유료화될 경우 경제적 격차에 따른 학습 불평등도 커질 수 있다. AI 기반 학습은 전자기기 사용을 증가시켜 학생들의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장시간 디지털 기기 사용으로 인한 시력 저하와 거북목 증후군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생각하기 - 교사 역할 유지하면서 보완적 도구로 활용하길
![[시사이슈 찬반토론]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필요한가](https://img.hankyung.com/photo/202503/AA.39964449.1.jpg)
결론적으로 AI가 지금보다 더 정교하고 완벽성 있게 발전하기 전에는 AI 교과서를 보완적 도구로 활용하면서 인간 교사의 역할을 기존처럼 유지하는 방식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디지털 피로도를 고려한 ‘혼합형 학습(Blended Learning)’ 전략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AI 교과서는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인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기술이 교육의 본질을 대체할 수는 없다는 사실은 잊지 말아야 한다.
서욱진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