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이번 주에는 비교우위로 무역이 발생하는 과정을 가상의 상황을 전제로 살펴보겠다. 국가는 A국과 B국 두 나라만 있고, 이들 국가에서 생산해 다른 나라와 교역하려는 재화는 컴퓨터와 옷 두 가지밖에 없다. 각 나라에서는 컴퓨터와 옷을 생산하는데, 노동력만 투입하며 양국의 노동 규모는 동일하고 시간당 임금도 같아 노동 투입 시간이 바로 재화의 생산비라 할 수 있다. A국에서 컴퓨터 1대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노동시간은 4시간, 의류 1벌은 8시간이다. B국에서 컴퓨터 1대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노동시간은 12시간, 의류 1벌은 10시간이다. 이러한 생산과정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비교우위와 기회비용A국은 두 상품 모두 B국보다 적은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두 재화 모두 절대우위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로는 두 나라 사이에서 무역이 발생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없다. 그러나 비교우위를 이용하면 절대우위로는 설명되지 않는 두 나라 사이의 무역이 발생하는 이유를 찾아낼 수 있다. 비교우위를 통해 어느 나라가 무엇을 수출 또는 수입하게 되는지는 기회비용으로 설명하는 것이 편리하다.
A국이 컴퓨터 1대를 더 생산하기 위해서는 의류 0.5(4/8)개를 포기해야 하고, B국에서는 1.2(12/10)개를 포기해야 한다. 의류의 경우 A국이 의류 1벌을 더 생산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2(8/4)개를 포기했지만, B국은 약 0.83개(10/12)를 포기해야 한다. 컴퓨터 생산 측면에서는 A국의 기회비용이 B국보다 더 작고, 의류는 B국의 기회비용이 A국보다 더 작다. 따라서 A국은 컴퓨터 생산에 비교우위가 있고, B국은 의류 생산에 비교우위를 갖는다. 각 나라에서 생산하는 재화의 기회비용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특화와 무역의 이익앞서 살펴본 상황에서 두 나라는 각각 컴퓨터와 의류를 1단위씩 생산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특화와 무역의 이익을 설명하겠다. 특화는 기회비용이 상대적으로 작은 상품에 전념해 생산하는 것이다. 특화를 하게 되면 A국은 비교우위에 있는 컴퓨터 생산에 12시간을 모두 투입하고, B국은 22시간을 의류 생산에 전부 투입한다. 이 경우 A국은 컴퓨터 3(=12/4)대를 생산할 수 있고, B국의 경우 의류 2.2단위(=22/10)를 생산할 수 있다. A국과 B국이 컴퓨터와 의류를 1:1로 교환하면 교역 전에 비해 A국은 컴퓨터 1대를, B국은 의류 0.2벌이 더 생산되어 소비할 수 있는 양이 증가한다. 이처럼 무역 이전보다 더 생산돼 소비가 증가하는 것이 무역의 이익이다. 이 경우 A국은 컴퓨터 1대의 무역 이득이 생긴 것이고, B국은 의류 0.2벌의 무역 이득이 발생한 것이다.교역조건의 성립교역조건(terms of trade)은 수출품 1단위와 교환되는 수입품의 양이다. 수출품의 가격이 높을수록 교환되는 수입품의 양은 증가하므로 교역조건을 재화의 가격으로 표시하면 수출품의 가격을 수입품의 가격으로 나눈 것이 된다. 앞선 상황에서 교역조건은 컴퓨터 1단위당 의류 1단위였고, 이 교역조건에서 A국은 컴퓨터 1대, B국은 의류 0.2벌의 무역 이득이 생겼다. 교역조건이 반드시 1:1이 아니어도 무역 이득은 발생한다. A국이 무역에 응할 최소의 기준은 컴퓨터 1대를 주고 컴퓨터 1대를 생산하는 데 드는 기회비용인 의류 0.5벌보다 많이 받는다면 A국이 생산하는 재화에 대해 기회비용 이상의 가치를 보상받기 때문에 무역의 이익이 발생한다. 반면 B국은 컴퓨터 1대를 받고 의류를 1.2벌보다 적게만 주면 기회비용보다 더 많이 받으므로 무역의 이득이 생긴다. 따라서 컴퓨터 1대로 나타낸 무역이 발생하는 교역조건은 의류 0.5벌보다 크고 1.2벌보다 작으면 된다. 참고로 의류 1벌로 나타낸 무역 발생 교역조건은 컴퓨터 약 0.83대보다 크고 2대보다 작으면 된다√ 기억해주세요
김형진 중앙대 강사특화는 기회비용이 상대적으로 작은 상품에 전념해 생산하는 것이다. 특화를 하게 되면 A국은 비교우위에 있는 컴퓨터 생산에 12시간을 모두 투입하고, B국은 22시간을 의류 생산에 전부 투입한다. 이 경우 A국은 컴퓨터 3(=12/4)대를 생산할 수 있고, B국의 경우 의류 2.2단위(=22/10)를 생산할 수 있다. A국과 B국이 컴퓨터와 의류를 1:1로 교환하면 교역 전에 비해 A국은 컴퓨터 1대를, B국은 의류 0.2벌을 더 생산해 소비할 수 있는 양이 증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