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플레이션
물가상승률이 다섯 달 만에 2%대에 재진입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5.71로 1년 전보다 2.2% 상승했다. 지난해 10월 1.3%까지 떨어진 물가는 이후 방향을 바꿔 11월(1.5%), 12월(1.9%)에 이어 오름폭을 키워가고 있다. 우리 경제가 ‘슬로플레이션(slowflation)’ 초기 단계에 들어선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다시 2%대 진입한 물가상승률

지난달 물가를 끌어올린 주된 요인은 국제 유가와 환율이었다. 휘발유, 경유 등 석유류가 7.3% 상승해 전체 물가를 0.27%포인트 높였다. 원·달러 환율은 비상계엄 사태 이후 1400원대가 굳어졌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11~12월 환율 상승이 석유류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가공식품과 기타 원자재에 시간을 두고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했다. 물가가 상반기까지는 상방 압력을 받겠지만, 한 해 전체로는 둔화 흐름이 계속될 것이라는 게 정부 입장이다.
물론 1월 물가는 한국은행이 관리하는 중장기 목표치(2.0%)에서 크게 벗어나진 않는 수치이기에 당장 ‘초비상’이라고 말하긴 어렵다. 문제는 추세다. 미국 트럼프 정부가 촉발한 관세전쟁이 달러 가치를 끌어올리면서 고환율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우리 정부가 조만간 단행할 가능성이 있는 추가경정예산은 시중에 돈을 푸는 것인 만큼 물가를 더 자극할 수 있다.
이런 와중에 성장에 대한 전망은 어두워지고 있다. 지난달 한은은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9%에서 1.6~1.7%로 하향 조정했다. JP모간, 씨티, 골드만삭스, UBS 등 해외 투자은행(IB)의 예측은 1.2~1.9%로 훨씬 비관적이다.
1월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2.5%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생활물가지수는 소비자가 많이 구입하는 144개 항목으로 구성돼 소비자물가지수보다 ‘체감 물가’를 잘 반영한다. 연초부터 장바구니 물가가 들썩이면서 가계 살림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휘발유와 가공식품 등을 필두로 가격 상승세가 가팔라지고 있다. 휘발유부터 커피·과자값까지 줄인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