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양자컴퓨터 기술 수준은 세계적 수준에 크게 못 미친다. 양자컴퓨터 자체가 아직 초기 단계인 만큼 적극적으로 투자에 나선다면 따라잡을 시간은 충분하다.
[생글기자 코너] 미래산업 혁신 주도할 양자컴퓨터
2025년은 독일 물리학자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1925년 양자역학의 기초를 세운 지 딱 100년이 되는 해다. 유엔은 이에 맞춰 올해를 ‘세계 양자 과학 및 기술의 해’로 정했다. 최근 양자컴퓨터가 미래 산업 혁신을 주도할 ‘게임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다.

구글은 지난달 양자컴퓨터 윌로를 공개했다. 양자컴퓨터의 최대 강점은 속도다. 윌로는 현재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가 10셉틸리언(10의 24제곱)년이 걸려야 풀어낼 계산을 단 5분 만에 해낼 수 있다. 양자컴퓨터에서 정보의 최소 단위는 ‘큐비트’인데, 모든 것의 가능성이 동시에 존재한다는 양자역학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한다.

기존 컴퓨터는 정보를 0과 1 중 하나로 코드화해 비트 단위로 처리하고 저장한다. 양자컴퓨터는 0과 1의 가능성이 동시에 존재한다는 중첩 개념을 활용해 큐비트 단위로 정보를 다룬다.

양자컴퓨터가 주목받는 것은 의학, 화학,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약 개발 등 고난도 계산을 반복해야 하는 분야에서 양자컴퓨팅을 통해 계산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이면 그만큼 빠른 시간 안에 결과를 내놓을 수 있다.

양자컴퓨터가 상용화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국가 간, 기업 간 기술 경쟁이 이미 시작돼 발전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한국의 이 분야 기술 수준은 세계적 수준에 크게 못 미친다. 양자컴퓨터 자체가 아직 초기 단계인 만큼 적극적으로 투자에 나선다면 따라잡을 시간은 충분하다.

전지민 생글기자(대전관저고 1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