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가 글로벌 문화산업 선두 주자로서의 위치를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 가능한 제작환경을 갖추고 혁신적 콘텐츠 개발에 힘써야 한다.
이에 힘입어 국내 콘텐츠 산업 시장은 세계 7위 규모로 성장했다. 한국 드라마와 영화는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 글로벌 OTT 플랫폼을 통해 북미·유럽·중동 등 세계 각지에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다. K-콘텐츠의 독창성과 완성도가 글로벌 시장에서 높게 평가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공감과 몰입을 이끌어내는 독창적 스토리텔링과 정교한 제작 능력이 K-콘텐츠의 성공 요인으로 꼽힌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는 K-팝과 한국 드라마가 한국 특유의 문화적 요소와 현대적 감각을 결합해 전 세계인의 공감을 얻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과도한 노동시간과 낮은 임금 등 창작자와 제작자에게 큰 부담을 주는 구조는 한국 콘텐츠 산업의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공정한 계약 관행을 확립하고 노동환경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등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몰입감을 더 높인 콘텐츠를 제공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K-콘텐츠는 이미 독창성과 완성도를 인정받고 있다. 지속 가능한 제작 환경을 갖추고 혁신적 콘텐츠를 개발한다면 글로벌 문화산업 선두 주자로서의 위치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건영 생글기자(대전대신고 1학년
![[생글기자 코너] 케데헌, 한국 전통문화의 힘 일깨웠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593.3.jpg)
![[생글기자 코너]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의 효과와 한계](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587.3.jpg)
![[생글기자 코너] 아베노믹스가 일본 경제에 남긴 것](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594.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