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과 학부모, 학교와 교육 당국이 협력해 공정하고 투명한 교원평가 체계를 만들어야 교사 역량도 높이고 교육의 질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생글기자 코너] 학생 의견 반영 줄어든 교원평가제도 개편](https://img.hankyung.com/photo/202501/AA.39161388.1.jpg)
그러나 학생과 학부모의 평가 비중이 줄었다는 점에서 이번 개편은 아쉬움이 남는다. 학교에서는 수업 준비가 부족한 일부 교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불만이 크다. 교원능력개발평가는 교사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해 보완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런 시스템을 통해 학생과 학부모의 의견이 반영되고 교육의 질이 높아진다면 학교와 교사에 대한 신뢰도도 높아진다.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교사 역량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교원능력개발평가가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다. 좋지 않은 평가를 받은 교사의 사기가 떨어질 수도 있고, 평가 기준이 공정하고 객관적 평가가 이뤄지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하지만 평가 방법을 개선하고 교사 역량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춘다면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교사에 대한 객관적 평가는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학교에 대한 신뢰를 강화하는 데 필수적이다. 학생과 학부모, 학교와 교육 당국이 협력해 공정하고 투명한 평가 체계와 문화를 만들어가야 한다.
김도경 생글기자(대원국제중 3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