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기와 글쓰기
자동차융합기술원, 100개사 조사
25곳 상반기 매출은 8% 뛰어
부품사 "차세대 기술 연구개발 투자"
자동차융합기술원, 100개사 조사
25곳 상반기 매출은 8% 뛰어
부품사 "차세대 기술 연구개발 투자"
![[숫자로 읽는 교육·경제] 현대차·기아 '낙수효과'…납품사 영업익 77% 급증](https://img.hankyung.com/photo/202411/AA.38721331.1.jpg)
17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전라북도 등이 공동 출자한 자동차융합기술원이 국내 100개 자동차 부품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24년 상반기 경영 성과와 시사점’ 자료에 따르면 25개 중소 부품 업체(매출 1500억원 미만)의 올 상반기 영업이익은 567억원으로 1년 전(319억원)보다 77.4% 증가했다. 같은 기간 매출도 1조1129억원에서 1조2238억원으로 8.3% 뛰었다.
45개 중견 부품사(매출 1500억~7000억원)의 올 상반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9조6212억원, 4015억원으로 작년 상반기보다 7.3%씩 확대됐다. 반면 현대모비스·현대트랜시스·현대위아 등 현대차그룹 계열 부품사 5곳이 포함된 21개 대형 업체(매출 7000억원 초과) 매출(40조691억원)과 영업이익(1조2459억원)은 각각 3.5%, 5.5% 감소했다.
자동차융합기술원은 현대차와 기아의 고급화 전략이 국내 부품업계 전반에 긍정적 효과를 낸 것으로 분석했다. 일반 가솔린 세단보다 비싸게 팔리는 하이브리드카, 전기차,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이 날개 돋친 듯 팔리자 현대차그룹이 부품값을 넉넉하게 쳐줬다는 얘기다. 현대차의 1차 부품 협력사인 삼보모터스 관계자는 “현대차가 전기차 생산라인을 확대하면서 일감도 늘고 납품 단가도 올랐다”고 말했다. 이 회사의 올 상반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1년 전보다 각각 11%, 68% 증가했다.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자동차업계 영업이익률 서열은 ‘완성차-현대차그룹 계열 부품사-비계열 부품사’였는데, 최근 들어 확 바뀌었다”고 말했다.
상당수 부품사는 늘어난 납품 대금을 금고에 넣는 대신 미래차 부품 개발에 쓰고 있다. 최근 2년 사이 영업이익이 50% 이상 늘어난 한 중견 부품사 대표는 “넉넉해진 자금의 상당 부분을 전기차 부품 R&D에 투입했다”며 “자금 사정이 빠듯했다면 R&D 투자를 확대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분위기는 자동차융합기술원 자료에서도 확인된다. 올 상반기 100개 부품 기업 중 투자 실적이 있는 95개사의 R&D 투자액은 2조242억원으로 1년 전 97개사 1조8907억원보다 7.1% 늘었다. 중소 부품사(326억원→394억원)와 중견 부품사(1853억원→2000억원)도 마찬가지였다.
김재후/신정은 한국경제신문 기자 NIE 포인트1. ‘낙수효과’란 용어가 무슨 뜻인지 공부해보자.
2. 대기업의 낙수효과를 부정하는 주장도 있다. 근거가 무엇인지 파악해보자.
3. 낙수효과가 대기업의 선의에 의한 것인지, 제도적 뒷받침이 있어서인지 살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