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엔 한국도 마약 청정국이었다. 이제 옛말이 됐다. 지난해 국내 마약 사범은 2만7611명으로 전년 대비 50.1% 증가했다.
남승현 생글기자(고려고 2학년)
남승현 생글기자(고려고 2학년)
마약 사범이 인구 10만 명당 20명 미만인 나라를 ‘마약 청정국’이라고 한다. 과거엔 한국도 마약 청정국이었지만 이제 옛말이 됐다. 지난해 국내 마약 사범은 2만7611명으로 전년 대비 50.1% 증가했다. 배우 유아인이 프로포폴 투약 혐의로 기소되는 등 유명인의 마약 투약 사건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마약 사범의 연령대도 낮아지는 추세다. 지난 8월 서울대·연세대 등 주요 대학 연합 동아리인 깐부 회원들이 마약을 투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필로폰, 대마, 케타민, 실로사이빈, LSD 등을 투약하고 회원들에게 약 1200만원어치에 해당하는 마약을 판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마약이 빠르게 확산하는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우선 텔레그램과 같은 메신저를 이용해 마약에 접근하기가 쉬워졌다. 텔레그램은 암호화된 비밀 채팅이 특징이다. 이 점을 범죄자들은 악용하고 있다.

또 마약은 한번 투약하면 중독성으로 인해 중단하기가 어렵다. 마약류는 중추신경계를 억제하고 신경 자극제로 작용한다. 마약을 복용하면 일상생활에서는 느낄 수 없는 쾌감을 경험하는데 장기적으로 신체에 커다란 악영향을 미친다.

반면 마약 중독자 치료 시설은 미비하다. 전국 마약 치료·보호기관 중 5년간 치료·보호 실적이 한 건도 없는 곳이 9곳에 이른다.

마약은 투약 당사자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 나아가 사회와 국가를 무너뜨린다. 한번 사용하면 돌이킬 수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남승현 생글기자(고려고 2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