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적 욕망에 눈이 멀었을 때 닥칠 위험을 알 필요가 있다. 돈 앞에서도 도덕적 가치를 생각할 수 있는 균형 감각을 키워야 할 것이다.
“유산은 독”이라며 평생 일군 재산을 KAIST에 쾌척한 정문술 전 미래산업 회장이 지난달 별세했다. 정 전 회장은 2남 3녀의 자녀가 있는데도 515억원의 재산을 과학기술 발전과 인재 양성에 써달라며 선뜻 내놓았다. 회사 경영권도 혈연관계가 없는 사람에게 넘겨주는 쉽지 않은 선택을 했다. 정 전 회장도 “하루에 열두 번씩 마음이 변했으나 나와의 싸움에서 이겼다”라며 고민을 거듭했다는 점을 밝힌 바 있다.정 전 회장의 이야기는 미국 소설가 존 스타인벡의 <진주>를 떠올리게 한다. 주인공인 멕시코 원주민 키노의 가족은 바닷가 마을에서 진주를 채취하며 살아간다. 어느 날 아이가 전갈에 물린 절박한 상황에서 키노는 부인과 함께 커다랗고 아름다운 진주를 찾게 된다. 아이를 치료할 수 있겠다는 희망도 잠시, 곧 탐욕에 눈먼 마을 사람들의 속임수와 폭력, 도덕적 타락과 마주하게 된다.
진주를 제값에 팔겠다는 키노의 욕망이 상황을 더 악화시킨다. 결국 그들은 집도 잃고, 배도 잃고, 사랑하는 아이마저 잃는다. ‘진주의 독’을 깨달은 키노가 진주를 바다에 버리며 소설은 끝난다.
소설을 읽고 키노가 진주를 조금만 일찍 포기했다면 아이를 구할 수 있었을까 생각했다. 값비싼 진주를 포기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하지만 물질적 욕망에 눈이 멀었을 때 닥칠 위험을 알 필요가 있다. 돈 앞에서도 도덕적 가치를 생각할 수 있는 균형 감각을 키워야 할 것이다. 키노의 진주와도 같은 평생 번 돈을 사회에 환원한 정 전 회장의 지혜로운 삶에서 배워야 한다.
최선호 생글기자(청심국제고 3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