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류세
정부는 국제유가가 급등한 2021년 11월 유류세 인하 조치를 한시적으로 시행한 이후 이번까지 10차례에 걸쳐 연장해왔다. 그 영향으로 교통·에너지·환경세 징수액은 2021년 16조6000억원에서 2022년 11조1000억원으로 뚝 떨어졌고 지난해에는 10조8000억원에 그쳤다.
유류세 인하는 고유가 상황에서 정부가 가장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민생 대책’으로 꼽힌다. 하지만 인하 조치가 남발되면 에너지 과소비를 조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양날의 검’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기름값이 오르면 소비자 부담이 커지긴 하지만 수요가 그만큼 줄면서 가격을 떨어뜨리는 측면도 있는데, 이런 시장의 기능을 무력화하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의 세수에 계속 큰 구멍이 나는 상황에서 부적절한 정책이라는 지적도 적지 않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 들어 4월까지 국세 수입(125조6000억원)은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8조4000억원 줄었다. 예산 대비 세수 진도율은 34.2%에 그쳐 작년(38.9%)이나 최근 5년 평균(38.3%)을 모두 밑돌았다. 연말까지 남은 기간 동안 세수 상황이 극적으로 개선되지 않는 한 지난해에 이어 ‘역대급 세수 펑크’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에 힘이 실리는 상황이다.“물가 안정 기여” vs. “에너지 과소비 조장”
![[임현우 기자의 키워드 시사경제] '제 살 깎기 경쟁'에 말려든 중국 경제](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75908.3.jpg)
![[임현우 기자의 키워드 시사경제] 게임 칩의 대변신…'AI 시대의 석유'로](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08821.3.jpg)
![[임현우 기자의 키워드 시사경제] 민간회사 무디스·S&P·피치가 쥐락펴락](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665.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