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ty Images Bank
Getty Images Bank
무제

작자 미상


술은 지기를 만나면
천 잔도 부족하고
말은 뜻이 안 맞으면
반 마디도 많다네.

酒逢知己千杯少
話不投機半句多.

“살다 보면 어떤 걸 외우지 못해 문제가 되는 것보다 애초에 잘못된 걸 기억하고 있어 낭패를 보는 경우가 더 많아요.”

한시에 조예가 깊은 한 시인의 말입니다. 무슨 일인가 했더니, 젊은 시절에 듣고 너무 좋아서 오랫동안 애송해온 시구 얘기더군요. “술자리서 지기 만나면 천 잔도 부족하고/ 의기가 맞지 않는다면 반 마디 말도 많네(酒逢知己千杯少 意氣不和半句多)”라는 멋진 구절이 구양수(歐陽修, 1007~1072)의 시인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다는 것입니다.구양수 전집에는 이런 내용 없어“30여 년이 흐른 뒤 우연히 출처를 찾아보았더니 세상에나! <구양수 시문집>은 물론 <사고전서(四庫全書)> 어디에도 없어요. 인터넷이 되지 않던 시절이라 검색은 엄두도 내지 못하고 기억으로만 여러 자리에서 인용하곤 했는데 원문이 보이지 않다니….”

온갖 방법을 동원해 찾아본 결과 구양수의 시 ‘봄날 서호에서 사법조에게 부치는 노래(春日西湖寄謝法曹韻)’에 후세 사람이 덧붙인 것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내용인즉, 시 중간의 “저기 호숫가에 한 동이 술이 있으니/ 만 리 밖 하늘 끝 사람을 떠올리노라(遙知湖上一樽酒 能憶天涯萬里人)”라는 구절을 한 번 더 반복하면서 그 앞에다 “술은 지기를 만나면 천 잔도 부족하고/ 말은 뜻이 안 맞으면 반 마디도 많다네(酒逢知己千杯少 話不投機半句多)”라는 구절을 집어넣었다는 것이지요.

이 구절에 ‘후인수개판(後人修改版)’이라는 주석이 붙어 있는데, <구양수 시문집>의 원판(原版)에 없는 후세인의 추가분이라는 뜻이죠.

결국 이 멋진 시구는 구양수 원작이 아니었던 겁니다. 게다가 젊은 날 외웠던 “의기가 맞지 않는다면(意氣不和)”은 어디에도 없는 구절이었지요. “말은 뜻이 안 맞으면(話不投機)”이라는 구절을 우리나라 사람 누군가가 또 한번 비틀어서 변형한 것입니다.<명심보감>에도 비슷한 구절이…그 얘기를 듣고 보니 궁금증이 더 생겼습니다. 그래서 저도 검색에 나섰지요. 구양수보다 300여 년 뒤에 활동한 원나라 말기 시인 겸 극작가 고명(高明)의 희곡 <비파기(琵琶記)>에서 비슷한 구절을 발견했습니다. ‘술잔 배(杯)’가 ‘술병 종(鍾)’으로 바뀐 정도인데, 오래 전승된 민간의 속담이 그의 손에 의해 극본에 녹아든 모양입니다.

하긴 지금도 중국 사람들이 오랜 벗을 만나 술잔을 기울일 때 흔히 입에 올리는 속담이 바로 “주펑즈지 첸베이사오(酒逢知己千杯少)”이고, 이에 “화부터우지 반쥐둬(話不投機半句多)”가 뒤따르는 걸 보면 먼 옛날부터 입으로 전해온 명구임엔 틀림없습니다.

우리의 옛 어린이 학습서인 <명심보감(明心寶鑑)>에도 비슷한 구절이 보이는군요. 여기에도 ‘술병 종(鍾)’이 쓰였습니다. <명심보감>은 고려 문신 추적(秋適, 1246~1317)이 1305년에 중국 고전의 금언과 명구를 발췌·편집한 책이죠. 송나라 구양수보다 후대이고 원나라 고명보다 조금 앞선 시기이니, 구양수 시에 붙은 추가분을 뽑아 넣은 게 아닌가 싶습니다. 물론 후대의 숱한 증보 과정에서 포함됐을 수도 있지만요.

아무튼 오늘같이 좋은 날, 그리운 벗들은 어디에서 천 잔 술을 기울이고 있을까요? 아니면 천 마디 수다 끝에 만 리 밖 고운 님을 떠올리고 있을까요?√ 음미해보세요
시인
시인
우리의 옛 어린이 학습서인 <명심보감(明心寶鑑)>에도 비슷한 구절이 보입니다. 여기에도 ‘술병 종(鍾)’이 쓰였습니다. <명심보감>은 고려 문신 추적(秋適, 1246~1317)이 1305년에 중국 고전의 금언과 명구를 발췌·편집한 책이죠. 송나라 구양수보다 후대이고 원나라 고명보다 조금 앞선 시기이니, 구양수 시에 붙은 추가분을 뽑아 넣은 게 아닌가 싶습니다. 아무튼 오늘같이 좋은 날, 그리운 벗들은 어디에서 천 잔 술을 기울이고 있을까요? 아니면 천 마디 수다 끝에 만 리 밖 고운 님을 떠올리고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