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 日 엔화 약세의 원인과 의미

우선 한 국가의 환율 가치가 높아지려면 그 환율의 값어치가 높아져야 해요. 어떻게 하면 값어치가 높아질까요. 한 나라가 다른 나라와 무역을 해서 돈을 벌어들이면(무역 흑자), 자국 화폐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높아질 거예요. 반대로 무역적자를 지속한다면 돈의 값어치는 당연히 떨어지겠죠. 일본은 2022년 회계연도까지 무역수지가 적자였어요. 수출 부진 영향이죠.
하지만 이는 원인 중 일부입니다. 더 큰 이유는 금융정책입니다. 일본은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리며 돈을 묶을 때, 여전히 완화정책을 유지했어요. 한마디로 돈을 계속 푼 거죠. 단기적으로 금리는 -0.1%로 마이너스고, 장기적으로는 0%대예요. 무슨 얘기냐. 일본 사람이 저축하면 실제 돈은 1년에 물가상승률만큼 값어치가 깎인다는 겁니다. 그럼 돈이 모이겠어요? 모두 쓰려고 하겠죠. 그래서 시중에 엔이 많아지고 값어치가 낮아져요. 이는 일본이 장기불황을 겪었던 만큼 금리인상으로 경기를 위축시키지 않기 위한 고육지책이기도 해요.엔저가 미치는 영향이 중요수능을 준비하는 입장에서 중요한 건 엔저 원인보다 사실 환율 변화에 따른 영향입니다. 그게 좀 더 보편적 논리에 가깝거든요. 엔저가 지속되면 일본 내에선 어떤 변화가 생길까요. 우선 엔저기 때문에 수출에 유리하겠죠. 가격경쟁력이 높아져요. 1달러에 160엔을 받을 수 있다면, 예전에 1달러에 팔던 물건을 0.8달러에 팔아도 되겠죠. 달러를 받고 수출하는 기업들의 수익은 개선됩니다.
또 관광 수입으로 대표되는 서비스 수출도 늘어나요. “일본 가면 한국 사람밖에 안 보이더라” 하잖아요. 반대로 일본인이 해외에 여행 가려면 어떨까요. 한때 ‘엔고’ 시절엔 유럽에 일본인들만 많았어요. 지금은 찾아보기 어렵죠. 모두 환율 효과입니다. 일본은 해외 투자 자산을 많이 가진 나라입니다. 달러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면서 엔화로 환산되는 일본의 보유 자산 가치도 치솟고 있습니다.
반대로 가장 큰 문제는 뭘까요. 수입품 가격에 변동이 생겨요. 수입하는 원자재 가격에 영향을 많이 받죠. 제조원가 상승 부담이 높아질 수밖에 없어요. 즉 환율로 얻은 이익을 원자재로 까먹을 수도 있죠. 수입하는 모든 물건의 가격은 상승 압력을 받을 수밖에 없어요. 일본 수출 기업들은 좋지만, 일본 서민들 입장에선 좋을 게 있을까요. 당장엔 좋다고만 말하기 어렵겠죠.
![[수능에 나오는 경제·금융] 장기 저금리 등 영향…수출·관광수지 좋아져](https://img.hankyung.com/photo/202405/AA.31075199.1.jpg)
고윤상 기자NIE 포인트1. 한 국가의 환율이 올라가는 원인엔 무엇이 있을까.
2. 엔저는 일본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까.
3. 엔저는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