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치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듯한 금융투자상품 피해를 막으려면 학교에서부터 형식적 수업이 아닌 전문적 수업이 필요하다. 주식과 증권 용어, 그리고 경제 흐름을 학창 시절부터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생글기자 코너] 금융투자, 위험한 만큼 제대로 된 교육 선행돼야
올 초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사태로 피해를 보게 된 투자자들이 억울함을 토로하고 있다. ELS란 주가지수와 연동해 만기에 수익이 결정되도록 만든 고난도 금융파생상품이다. 홍콩 ELS는 과거 높은 확률로 조기 상환이 이뤄진 데다 중국 국영 우량 기업이 기초 지수에 포함돼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규제, 외국인 자본 유입의 축소, 중국 실물경기의 악화 등으로 기초 지수가 하락하면서 ELS의 대폭 손실 위험이 커진 것이다.

ELS가 대규모 피해를 주는 사안으로 번진 데에는 고객의 배경지식 미흡이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피해자들의 인터뷰를 보면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은 아는 것이 없었고 은행이 추천해줬기 때문에 구매했다고 답했다. 하지만 은행도 결국 사기업이고, 이익을 남기기 위해 ELS 상품 구조를 짰을 것이다. 고위험 상품인 ELS를 배경지식도 없이 무작정 구매한 투자자라면 책임을 면할 수 없다. 투자자의 자기책임 원칙은 금융시장에선 반드시 지켜야 할 철칙이다.

그러나 조금 더 들어가보면, 어릴 때부터 금융 관련 지식을 배우고 익힐 수 있는 실물경제 교육이 부족한 게 원인이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 홍콩 ELS 사태가 과거에도 있었다. 마치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듯한 금융투자상품 피해를 막으려면 학교에서부터 형식적 수업이 아닌 전문적 수업이 필요하다. 주식과 증권 용어, 그리고 경제 흐름을 학창 시절부터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예컨대 가상 모의투자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투자를 해본다면, 주가 흐름을 재미있게 이해하고 부담 없이 금융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권나린 생글기자(대구제일여상 2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