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선수뿐 아니라 일반 학생들의 스포츠 경기도 지원하고, 이를 통해 몸과 마음 모두 건강한 청소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체육은 청소년의 미래다.
[생글기자 코너] 청소년 운동 부족, 건강한 사회 가로막는다
우리나라 학생들은 청소년기 대부분을 책상 앞에서 보낸다. 일부 학교는 시험 기간에 체육수업을 했다는 이유로 학부모의 질타를 받기도 한다. 대부분의 학생은 직접 경기를 뛰기보다 경기를 관람하는 수준에서 스포츠를 즐긴다. 남학생들은 몰라도 여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스포츠 경기를 뛰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지방에 가면 또 다른 문제가 있다. 청소년 인구 자체가 매우 적어 경기를 위한 선수 수가 모자라는 것이다. 전국 6175개 초등학교 가운데 전교생이 30명 이하인 학교가 584개, 60명 이하인 학교는 1424개나 된다. 전국 초등학교의 9% 정도는 교내 축구 리그나 경기를 위해 거의 전교생이 참여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웃 일본은 엘리트 스포츠부는 아니더라도 거의 모든 학교에 1개 이상의 운동부가 있다. 엘리트 스포츠가 발달한 우리나라는 축구부만 해도 60개가 채 되지 않는다. 이런 여건 때문에 우리나라 청소년은 만성 운동 부족에 내몰린다. 스포츠에 문외한인 학생들이 늘어나면 이후엔 손흥민처럼 운동에 천부적 재능을 가진 사람이 태어나더라도 평생 축구라는 것에 관심조차 가져보지 못하고 성장할지 모른다.

이제는 좀 변해야 한다. 학생들에게 스포츠 체험을 적극 권장하고, 스포츠를 즐기는 법을 가르쳐야 한다. 또한 학생 선수뿐 아니라 일반 학생들의 스포츠 경기도 지원하고, 이를 통해 몸과 마음 모두 건강한 청소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체육은 청소년의 미래다.

김송현 생글기자(신반포중 3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