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이 궤도에 오르기 전까지 주위의 시선이 더 힘들었다는 청년 사업가가 적지 않다. 학교 안팎에서 창의, 혁신, 추진력, 리더십 등으로 표현되는 기업가 정신의 가치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전문직과 대기업, 미래에 대한 고민이 가득한 청소년들은 대체로 정해진 틀 안에서 안정적 미래를 꿈꾼다. 한국경제인협회가 최근 조사한 바에 따르면 청년들이 스스로 기업가 정신이 낮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전적 기업가 정신은 과거 경제가 고속 성장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했을뿐더러 고부가가치 첨단기술이 중요한 미래에도 매우 중요한 덕목이다.이러한 상황에서 청년들의 기업가 정신을 고취하기 위해서는 사회 각계의 노력이 필요하다. 미국에선 MIT의 델타V(Delta V), 스탠퍼드대의 스타트X(StartX) 등 여러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계가 민관과 긴밀하게 협조하며 청년 창업을 적극 지원한다. 재능 있는 학생들이 사업 자금과 공간을 지원받고,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시작하는 문화가 정착돼 있다. 반면 국내에선 교양 수준의 창업 이론 강좌가 주를 이루고 있는 만큼 체계 및 실효성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해외의 고용시장은 워낙 유연하기에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작다. 고용시장을 제도적으로 유연하게 만들어 실패가 곧 경력단절이 되지 않는 사회적 환경을 만들 필요가 있다. 현재의 종신고용 제도는 이직과 신규 채용을 어렵게 해 구직자가 안정성을 우선시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든다. 사회적 인식 역시 개선이 필요하다. 성장성 있는 소규모 기업의 잠재 가치를 평가절하해서는 안 된다. 사업이 궤도에 오르기 전까지 주위의 시선이 더 힘들었다는 청년 사업가가 적지 않다. 학교 안팎에서 창의, 혁신, 추진력, 리더십 등으로 표현되는 기업가 정신의 가치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최선호 생글기자(청심국제고 3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