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채무

나랏빚은 범위를 잡는 기준이 여러 가지다. 정부는 이 통계를 국가채무(D1), 일반정부 부채(D2), 공공부문 부채(D3)의 세 가지 유형으로 관리한다. 이 중 정부가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개념은 국가채무(D1)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직접적인 상환 의무를 지는 확정채무를 뜻한다. 국채나 차입금처럼 상환 시기와 금액이 확정돼 반드시 갚아야 하는 것들로, ‘가장 좁은 범위의 나랏빚’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국가채무는 2019년만 해도 723조2000억원이었다. 코로나19 사태 때 대규모 재정을 투입하는 등의 영향으로 2022년에는 1000조원대에 진입, 1067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 역시 2019년 이전까지는 30%대를 유지해왔으나 이후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2020년 40%대에 진입한 이후 3년 만에 50%대에 올라섰다.
국제사회에서 통용되는 지표는 일반정부 부채(D2)다.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같은 국제기구들이 매년 집계하고 있어 국가별 비교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일반정부부채는 D1에 공공기관 부채까지, 공공부문 부채(D3)는 D2에 공기업 부채까지 더한 값이다. 공공기관과 공기업이 진 빚은 당장 정부가 갚아줄 의무는 없지만 이들의 재무 상태가 부실해지면 결국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 IMF는 한국의 GDP 대비 D2 비율이 지난해 55.2%를 기록했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2029년에는 59.4%에 이르러 60%에 육박한다는 전망이다.국가채무에 안 잡히는 항목도 많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