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풀이
危: 위태할 위
邦: 나라 방
不: 아니 불
入: 들 입
위태로운 나라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군자의 올바른 몸가짐을 이르는 말
- <논어>
공자는 “예(禮)가 아니면 보지도 말고 듣지도 말고 행하지도 말라”고 했다. <논어> 태백 편에 나오는 공자의 말은 그 뜻을 오롯이 담고 있다.
“도(道)를 독실히 믿으면서 배우기를 좋아하고 죽음으로써 지키면서 도를 잘 행해야 한다. 위태로운 나라에는 들어가지 않고, 어지러운 나라에서는 살지 않으며, 천하에 도가 있으면 세상에 나와 드러내어 벼슬하고, 천하에 도가 없으면 숨어야 한다. 나라에 도가 있을 때에는 가난하고 미천한 것이 부끄러운 일이요, 나라에 도가 없을 때에는 부유하고 귀한 것이 부끄러운 일이다(篤信好學 守死善道 危邦不入 亂邦不居 天下有道則見 無道則隱 邦有道 貧且賤焉 恥也 邦無道 富且貴焉 恥也).
군자라면 마땅히 지녀야 할 마음가짐과 처신을 언급한 대목이다. 공자의 말에 따르면 군자는 위태롭고 어지러운 나라에서는 기강이 문란하고 본받을 의리가 없기 때문에 벼슬을 하지도, 머물지도 않아야 한다. 바른 도가 있는 세상에서는 모두가 평안하고 넉넉하니 곤궁한 것이 부끄러운 일이지만, 혼란한 나라에서 홀로 부귀를 누린다면 이 또한 부끄러운 일이다.
여기서 나오는 위방불입(危邦不入)은 군자는 ‘머지않아 멸망할 위태로운 나라에는 들어가지 않는다’는 뜻이다. 아름다운 도가 있는 세상에서는 자신이 익히고 수양한 공부와 덕을 펼치고 벼슬에 올라 천하를 위해 힘쓰는 것이 옳지만, 무도한 나라에서는 뜻을 제대로 펼칠 수 없으므로 스스로 몸을 정결히 하고 은거하며 몸과 마음을 닦는 게 낫다는 말이다.
바른 처신은 머물 자리는 머물고 떠나야 할 자리는 떠나는 것이다. 떠나야 할 자리에 오래 머물면 모습이 추해진다. 항룡(亢龍)은 높이 나는 것에 취해 때가 되었는데도 내려올 줄 모르는 용이다. 악(惡)이 있는 곳은 서둘러 떠나고 선(善)이 있는 곳은 오래 머물자.
危: 위태할 위
邦: 나라 방
不: 아니 불
入: 들 입
위태로운 나라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군자의 올바른 몸가짐을 이르는 말
- <논어>
공자는 “예(禮)가 아니면 보지도 말고 듣지도 말고 행하지도 말라”고 했다. <논어> 태백 편에 나오는 공자의 말은 그 뜻을 오롯이 담고 있다.
“도(道)를 독실히 믿으면서 배우기를 좋아하고 죽음으로써 지키면서 도를 잘 행해야 한다. 위태로운 나라에는 들어가지 않고, 어지러운 나라에서는 살지 않으며, 천하에 도가 있으면 세상에 나와 드러내어 벼슬하고, 천하에 도가 없으면 숨어야 한다. 나라에 도가 있을 때에는 가난하고 미천한 것이 부끄러운 일이요, 나라에 도가 없을 때에는 부유하고 귀한 것이 부끄러운 일이다(篤信好學 守死善道 危邦不入 亂邦不居 天下有道則見 無道則隱 邦有道 貧且賤焉 恥也 邦無道 富且貴焉 恥也).
군자라면 마땅히 지녀야 할 마음가짐과 처신을 언급한 대목이다. 공자의 말에 따르면 군자는 위태롭고 어지러운 나라에서는 기강이 문란하고 본받을 의리가 없기 때문에 벼슬을 하지도, 머물지도 않아야 한다. 바른 도가 있는 세상에서는 모두가 평안하고 넉넉하니 곤궁한 것이 부끄러운 일이지만, 혼란한 나라에서 홀로 부귀를 누린다면 이 또한 부끄러운 일이다.
여기서 나오는 위방불입(危邦不入)은 군자는 ‘머지않아 멸망할 위태로운 나라에는 들어가지 않는다’는 뜻이다. 아름다운 도가 있는 세상에서는 자신이 익히고 수양한 공부와 덕을 펼치고 벼슬에 올라 천하를 위해 힘쓰는 것이 옳지만, 무도한 나라에서는 뜻을 제대로 펼칠 수 없으므로 스스로 몸을 정결히 하고 은거하며 몸과 마음을 닦는 게 낫다는 말이다.
바른 처신은 머물 자리는 머물고 떠나야 할 자리는 떠나는 것이다. 떠나야 할 자리에 오래 머물면 모습이 추해진다. 항룡(亢龍)은 높이 나는 것에 취해 때가 되었는데도 내려올 줄 모르는 용이다. 악(惡)이 있는 곳은 서둘러 떠나고 선(善)이 있는 곳은 오래 머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