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는 인간의 역사와 지리를 담고 있다. 언어를 잃는 것은 역사를 잃고 과거와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잃는다는 얘기다. 언어적 다양성은 인류가 지닌 언어 능력의 범위를 보여준다.
[생글기자 코너] 인류 역사 간직한 언어 다양성 지켜내야
오늘날 세계에는 약 7000개의 언어가 존재한다. 그런데 이 가운데 43%의 언어가 소멸 위기에 처했다. 토착 언어 사용자들의 거주지가 파괴, 동화 교육의 실시, 언어 사용 인구의 급격한 감소 때문이다.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한 요즘엔 전자매체의 확산이 이유이기도 하다.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서로 다른 문화에 접촉하는 경우가 흔해졌다. 하나의 문화가 다른 문화의 영향을 받아 자신의 특성을 잃기 시작하면서 원래의 언어 또한 사라지게 된다.

우리나라에도 소멸 위기의 언어가 있다. 바로 제주어다. 2011년 유네스코는 제주어를 ‘아주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했다. 제주어는 최근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에서 대사로 많이 사용되며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뭔가 다정다감한 언어 같은 제주도 방언이 사어가 된다면 너무 아쉬울 것이다.

언어는 인간의 역사와 지리를 담고 있다. 언어를 잃는 것은 역사를 잃고 과거와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잃는다는 얘기다. 언어학계에서는 언어의 사멸을 생명 다양성 감소와 같은 개념으로 받아들인다.

언어를 지키는 방법은 다양하다. 한국은 언어 유지 및 부흥 장려의 목적으로 지역어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세계적인 노력 또한 있다. ‘국제 모국어의 날’은 유네스코에서 언어와 문화의 다양성을 목적으로 지정한 국제 기념일로, 매년 2월 21일이다.

앞으로도 얼마나 많은 언어가 죽음을 맞이할까? 정확한 답은 아무도 알지 못한다.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전례 없는 속도로 수많은 언어가 죽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더 이상 사어가 생기지 않도록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한다.

김예진 생글기자(정신여고 1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