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기와 글쓰기
서울 15개大 경제학과 교수 설문
"정부의 배상 기준 제시 부적절" 67%
"ELS 배상은 법원이 판단해야
정부 개입은 시장 왜곡 낳아"
서울 15개大 경제학과 교수 설문
"정부의 배상 기준 제시 부적절" 67%
"ELS 배상은 법원이 판단해야
정부 개입은 시장 왜곡 낳아"
![[숫자로 읽는 교육·경제] "홍콩ELS 손실배상안, 정부가 왜 지침 내리나"](https://img.hankyung.com/photo/202402/AA.35923743.1.jpg)
한국경제신문이 지난 10~16일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서울 주요 대학 15곳의 경제학과 교수 296명(초빙·명예교수 제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 46명 중 31명(67.4%)이 ‘정부가 홍콩 H지수 ELS의 배상 기준을 직접 만드는 것’에 “적절하지 않다”고 답했다.
김재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정부의 배상 기준 마련이 피해 소비자를 보호하는 등 긍정적 측면이 있더라도 시장 원칙 훼손, 금융회사의 부담 증가 등 부정적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며 반대 뜻을 나타냈다. 김성현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는 “배상 기준은 (은행의) 위법행위가 확인된 경우에만 법에 따라 제시해야 한다”며 “행정부가 임의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정부 배상안과 별개로 은행이 ‘자율 배상’에 나서라고 금융당국이 지침을 내린 것도 부적절하다고 보는 경제학자가 과반(52.2%)을 차지했다. 유종민 홍익대 경제학부 교수는 “정부가 허겁지겁 자율 배상에 나서라고 한 것은 투자자의 원성을 잠재우기 위한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은행권이 2021년 판매한 홍콩 H지수 ELS 상품에서 올해 들어 확정된 원금 손실만 6000억 원을 넘어섰다. H지수가 지금처럼 5500선을 밑돌면 올 상반기 원금 손실액은 5조 원대로 불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정의진 한국경제신문 기자NIE 포인트1. 홍콩 ELS 투자 사태가 왜 터졌는지 파악해보자.
2.정부가 배상 기준과 같은 민간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개입하면 어떤 부작용이 일어날까?
3. 과거 관치금융 사례와 부작용, 개선책이 어떠했는지 공부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