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교대 및 초등교육과 선발 규모 분석
지난해 교대 및 초등교육과 입시는 혼란의 연속이었다. 수시에선 초유의 미충원 사태를 빚은 데 반해 정시에선 경쟁률이 상승하는 등 모순적인 모습이 연출됐다. 교대 기피 현상이 연일 회자되더니 어느 순간 지원자가 몰렸다. 합격선은 오를까 떨어질까, 수험생들은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2024학년도 교대 및 초등교육과 입시에서 벌어진 돌발 상황을 분석하고, 2025학년도 선발 규모를 알아본다.
2024학년도 대입은 이런 인식에 균열을 일으키기에 충분했다. 2024학년도 입시에서 교대 및 초등교육과는 수시, 정시에서 정반대 지원 패턴이 나타나며 사람들에게 의아함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전국 13개 교대 및 초등교육과의 경우 지난해 수시에서 모집 대비 30.9%를 충원하지 못해 정시로 넘긴 수시 이월 규모가 750명에 달했다. 수시 미충원 비율은 2023학년도 20.6%에서 2024학년도 30.9%까지 치솟았다. 심지어 지난해 서울교대 수시 미충원 비율은 80.5%에 달했다. 수시에서 뽑기로 계획한 인원의 80.5%를 뽑지 못했다는 것이다. 지원자 상당수가 수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대학이 충원을 진행하지 못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인문계 학과 중 전통적 강호로 꼽혀오던 교대 및 초등교육과로서는 ‘폭망’이라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의 참혹한 성적이었다. 학령 인구 감소, 교원 임용 규모 축소 등으로 불거진 교대 기피 현상이 원인이라는 분석이 연일 언론을 도배했다.합격선 하락 기대에 정시 경쟁률 최고 기록
아이러니컬하게도 정시의 ‘흥행’은 수시의 ‘폭망’ 덕분이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역대 최대 규모로 수시 미충원 및 수시 이월이 발생하면서 정시 선발 인원이 크게 늘어났고, 이것이 정시 합격선 하락에 대한 기대심리로 이어지면서 정시에서 ‘묻지마 지원’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전형 유형별로는 학생부종합 선발 비중이 57.4%(2408명)로 가장 많다. 다음으로 정시 36.5%(1532명), 학생부교과 6.1%(256명) 순이다. 수능 위주 정시와 수시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을 합한 수능 반영 선발 비중은 평균 60.3%(2532명)로 분석된다. 열에 여섯 이상은 수능 성적을 필수로 제출해야 한다는 것이다.학생부종합·정시·학생부교과 순 많이 뽑아하지만 이는 전형계획안 기준 최초 계획일 뿐 수시 이월을 포함한 최종 정시 선발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2024학년도 기준으로 수시에서 뽑지 못해 정시로 이월한 수시 이월을 포함한 최종 정시 비중은 10개 교대에서 평균 61.1%에 달했다. 최초 계획 대비 18.7%를 더 뽑았다. 심지어 서울교대의 경우 수시 이월자가 149명이 발생하면서 최종 정시 비중이 90.7%까지 치솟기도 했다. 지난해 추세를 감안하면 올해 정시 최종 비중은 평균 50%대 중·후반에 달할 수 있다. 정시와 수시 수능 최저를 합한 수능 반영 선발 비중은 70~80%대까지 상승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교대 및 초등교육과를 목표하는 학생이라면 이 같은 돌발 상황에 충분히 대비할 수 있어야 하겠다. 수시와 정시 선발 비중은 엇비슷하게 보고 대비하기를 권한다. 대학에 따라 정시 비중이 예상외로 더 커질 수 있는 상황도 대비해야 한다. 마지막까지 수능 학습에 집중하면서 내신 등 수시 준비를 하는 균형 잡힌 전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5~6월 중 발표될 2024학년도 입시 결과도 예의주시해야 한다. 통상 대학별 입시 결과는 5~6월 중 각 학교 홈페이지와 대입 정보 포털 ‘어디가’를 통해 발표한다. 수시는 내신 합격선이 하락했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정시의 경우 2024학년도 경쟁률이 상승했다곤 하나 지원자층 자체의 학력 수준이 낮았다면 합격선에 큰 변동을 주지 못했을 수도 있다. 발표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2026학년도 대입 전략] 의대 298~292점·치대 295~292점 목표해 볼 만…SKY 인문 293~283점, 자연 294~288점 지원 가능](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76051.3.jpg)
![[2026학년도 대입 전략] 인문-자유전공, 자연-반도체·AI학과 인기몰이, 전자·전기 약세…빅데이터 영향 통계학과 상승세](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08934.3.jpg)
![[2027학년도 대입 전략] 2027 수능 사탐 응시 80%대로 사상 최대 전망…고2 사탐런 이미 진행 중…내년 대입 최대 변수로](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01.42234380.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