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관의 인문논술 강의노트
올해부터 부활하는 고려대학교 논술(3)
올해부터 부활하는 고려대학교 논술(3)
![[2025학년도 논술길잡이] '평가하시오'란 물음엔 제시문을 견주어봐야](https://img.hankyung.com/photo/202402/AA.35861819.1.jpg)
1번 문제는 대안 제시였는데, 2번 문제는 평가입니다. 앞서 살핀 대로 제시문의 ‘신’(즉 박제가)은 농사에 기초하여 경제적 성장을 먼저 이룬 후에 다수의 삶이 안정될 수 있고, 나머지 활동도 보장할 수 있다는 경제 중시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평가라는 물음을 만나면 양자를 견주어 생각해봐야 합니다. 제시문 7의 ‘경제 중심 태도’를 다양한 제시문과 견주어보면서 다양한 각도로 ⑦과의 거리를 재봅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옹호에서는 제시문 ① ③ ④를 활용하여, 그리고 비판에서는 제시문 ② ③ ⑤를 활용하여 답안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 제시문의 세트 외에 다른 조합으로 설명했음에도 논리적으로 타당하게 설명했을 경우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옹호’의 입장에 대한 학교 측 발표 답안
⑦에서 ‘신’은 농사가 국가 경영의 근간이며 사회적·문화적·상업적 활동의 성공 또한 농사에 그 성패가 달렸다고 주장한다. 농사에 바탕을 둔 경제적 성장으로 다수의 삶이 안정된 후에야 나머지 활동도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신’의 태도는 ① ③ ④를 근거로 옹호할 수 있다. ①에서는 거울을 흐리게 하여 보다 많은 사람에게 기쁨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후에 잘생긴 사람을 만났을 때 거울을 밝게 닦아도 늦지 않다는 말은 못생긴 다수와 잘생긴 소수를 위한 것 가운데 우선시해야 할 가치가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①은 다수의 혜택을 중시하는 ‘신’의 견해를 긍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다. ③에서 덴마크 택시기사는 돈을 많이 벌거나 사회적 지위가 높지는 않지만, 자신의 일에서 자부심을 느낀다. 그가 택시 운전에서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이유를 덴마크가 사회적 기반을 갖춰 행복 지수가 높은 데서 찾는다면 ③ 역시 농사에 힘쓴 후에 백성이 생업을 즐겁게 여긴다는 ‘신’의 견해와 입장을 같이한다. ④는 소외된 사람들에게 무관심한 이기적 기쁨을 비판하고, 어려운 이웃의 슬픔에 공감하며 살아가는 삶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는 ‘귤 파는 할머니’나 ‘동사자’ 같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다 같이 잘사는 삶을 추구할 것을 호소한다는 점에서 다수의 백성을 잘살게 만드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신’의 견해와 일치하는 면이 있다. (700자)
*②를 선택하여 서술한 경우: ②는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할 때 공동체의 성숙과 발전이 가능함을 역설한다.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 문화적 다양성이라는 가치가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보는 점에서 가치를 추구하는 데 선후 관계가 있음을 주장하는 ‘신’의 견해를 긍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다.
*⑤를 선택하여 서술한 경우: ⑤는 천변의 인정물태를 묘사하면서 ‘창수’의 시선을 빌려 이들이 각자 행복해 보일 수 있는 것은 그곳이 서울이기 때문이라는 입장을 보인다. 이는 다양한 사람의 행복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조건이 있다고 보는 점에서 ‘신’의 견해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비판’의 입장에 대한 학교 측 발표 답안
⑦에서 ‘신’은 농사가 국가 경영의 근간이며 사회적·문화적·상업적 활동의 성공 또한 농사에 그 성패가 달렸다고 주장한다. 농사에 바탕을 둔 경제적 성장으로 다수의 삶이 안정된 후에야 나머지 활동도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신’의 태도는 하나의 가치만 강조한다는 점에서 ② ③ ⑤를 근거로 비판할 수 있다. ②는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여 주류 문화와 비주류 문화가 공존할 때 공동체가 발전한다고 역설한다. 이에 따르면 농업뿐 아니라 무술, 문학, 교화, 예악 등의 분야 또한 대등하고 조화롭게 추구해야 할 대상이다. 그러므로 ②는 농사 담당 관원이라 하여 농업만 내세우는 ‘신’의 견해를 부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다. ③은 사회 구성원들이 각자의 소임을 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견해를 보인다. 여러 직업에서 자부심을 느낄 때 행복 지수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경제적 지위뿐 아니라 일 자체에 대한 흥미와 공동체에 대한 기여 의식 또한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③은 경제적 안정을 우선시하는 ‘신’의 입장에 비판적일 것이다. ⑤는 천변에서 관찰한 다양한 인간 군상에 대한 묘사다. 일부는 노동(빨래)을 하고 또 다른 일부는 놀이(권투)를 하지만, 이들이 모여 서울이라는 공간을 행복해 보이게 한다. 그러므로 ⑤는 여러 가지 즐거운 일이 다양하게 모여 행복을 이룬다는 관점에서 농업만 우선하는 ‘신’의 견해를 부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다.(700자)
*①을 선택하여 서술한 경우: ①은 거울을 흐리게 하는 것이 거울을 맑게 하는 것보다 나을 수 있다고 주장하며 편견과 고정관념을 벗어날 것을 말하고 있다. ‘신’은 농업과 경제 성장이 가장 중요하다는 관점에 매몰되어 있다는 점에서 ①은 ‘신’의 견해를 부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다.
*④를 선택하여 서술한 경우: ④는 사회에는 기쁨과 슬픔을 경험하는 다양한 사람이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고 역설한다. 그러므로 하나의 가치를 우선시하는 ‘신’의 견해를 부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다.포인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