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산업센터
경기도의 한 지식산업센터 모습. 대로변 상가가 대부분 비어있다. /한경DB
경기도의 한 지식산업센터 모습. 대로변 상가가 대부분 비어있다. /한경DB
지난해 7월 입주를 시작한 경기도 고양시 향동의 한 지식산업센터. 입주를 시작한 지 7개월이 지났지만 지금도 전체의 60%가량이 임차인을 찾지 못한 채 공실(空室)로 남아 있다. 2021년 분양 당시 투자자들의 관심이 뜨거워 한때는 웃돈까지 붙어 거래됐지만, 지금은 분양가보다 낮은 ‘마이너스 프리미엄’ 매물이 나오고 있다.

준공을 앞둔 인근의 다른 지식산업센터들도 사정은 비슷하다. 분양가에서 수천만 원을 깎은 분양권 급매물을 쉽게 볼 수 있다. 가격 상승을 기대하고 지식산업센터를 두 개나 분양받았다는 A씨는 “임차인을 구하지 못했고 매물로 내놔도 팔리지 않는다”며 “대출이자에 관리비까지 부담하느라 너무 힘들다”고 했다.우후죽순 분양 후폭풍… 곳곳에 공실·경매부동산 호황기 인기 투자처로 주목받던 지식산업센터가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 지식산업센터란 제조업, 지식산업, 정보통신업 등의 사업장과 그 지원 시설 등이 입주할 수 있는 3층 이상의 건물을 가리킨다. 과거에는 ‘아파트형 공장’으로 불리던 건물 형태다. 저금리에 집값이 폭등하던 시절 부동산 규제가 아파트와 같은 주택에 집중되자 투자자 사이에서 대체재 격으로 인기를 모았다. 주택과 달리 전매제한 등의 규제를 피할 수 있고, 분양가의 80%까지 대출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일반 공장과 달리 건축면적을 제한하는 ‘수도권 공장 총량제’도 적용받지 않아 부동산 활황을 타고 전국에서 우후죽순처럼 분양됐다.

산업단지공단에 따르면 지난 1월 말 기준 국내에 공급된 지식산업센터는 1529곳(설립 승인 기준)으로, 2020년 4월(1167곳) 이후 362곳 늘었다. 공급이 과도하게 증가한 반면 최근 경기침체로 수요는 줄자 전국 곳곳의 지식산업센터에서 대규모 공실 사태가 빚어지고 있다. 여기에다 금리까지 오른 탓에 무리하게 빚을 내 구입했던 투자자들의 보유 물량이 경매 시장에 쏟아지고 있다.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해 경매에 나온 지식산업센터는 688건으로 1년 전(403건)에 비해 70% 늘었다. 낙찰률은 28.9%로 전년(45.2%) 대비 16.3%p 하락했다. 주인을 찾은 경매 매물이 그만큼 줄었다는 의미다.“공급과잉 쉽게 해소되기 어려울 듯”지식산업센터의 공급과잉 문제가 심각해지자 정부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식산업센터에 입주할 수 없었던 통신판매업, 전문건설업 등을 입주 가능 업종에 추가하기로 했다. 향후 지방자치단체가 새 지식산업센터 설립을 승인할 때 지역 내 입주 수요, 공급 현황 등 시장 상황을 적극 고려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임현우 한국경제신문 기자
임현우 한국경제신문 기자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입주 수요를 고려하지 않은 채 무분별한 공급이 이뤄지다 보니 대규모 공실 등 각종 부작용이 발생하게 됐다”며 “인허가 물량을 고려하면 당분간 지식산업센터가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여 문제가 단기간에 해결되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