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기와 글쓰기

중국 떠난 자금 일본 몰려
엔저·실적·정책 '3박자' 효과
닛케이 연일 최고치 파죽지세
연합뉴스
연합뉴스
일본 도쿄 증시가 시가총액으로 중국 상하이 증시를 제치고 3년 6개월 만에 아시아 1위를 되찾았다. 글로벌 투자 자금이 규제를 강화한 중국을 떠나 주가 부양에 적극적인 일본으로 몰리는 ‘자금 대전환’이 이뤄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세계거래소연맹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지난 10일 기준 도쿄증권거래소 상장 종목의 시가총액 합계는 6조3200억 달러(약 8296조 원)로, 6조2700억 달러에 그친 상하이증권거래소를 제쳤다. 2020년 7월 상하이증시에 밀린 후 첫 아시아 1위 탈환이다.

작년 11월 말까지 상하이증시 시총은 6조5929억 달러로 5조9041억 달러인 도쿄 증시를 여유 있게 앞섰다. 하지만 지난해 30% 가까이 오른 닛케이225지수가 올 들어서도 상승세를 이어간 반면 상하이종합지수는 작년 중반부터 하락세가 계속되면서 희비가 엇갈렸다.

이날 도쿄 증시 대표 지수인 닛케이225지수는 1.5% 오른 35,577.11로 거래를 마쳤다. 4거래일 연속 오르며 33년 11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2800대에서 움직이면서 3년 8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일본 도쿄 증시가 시가총액 ‘아시아 1위’에 재등극한 것은 글로벌 투자 자금의 흐름이 바뀐 결과다. 지난 20여 년간 이어지던 ‘바이(buy) 차이나-셀(sell) 재팬’ 움직임이 일본 경제 부활로 반전됐기 때문이다. 지난 수년간 26,000~28,000의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던 닛케이지수가 본격적으로 오름세를 탔다. 이에 힘입어 세계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하며 자금을 빨아들이던 중국 상하이 증시를 따돌렸다.

지난해 도쿄 증시에서 외국인투자자는 3조1215억 엔(약 28조2561억 원)어치의 일본 주식을 순매수했다. 아베 신조 전 총리의 대규모 경기부양책으로 주가가 반짝 상승한 2013년 15조 엔 후 최대 규모였다.

세계 2~3위 경제 대국을 대표하는 도쿄·상하이 주식시장의 역전극은 성장 전망과 규제 차이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다. 중국 정부는 부동산 불황 등 경기 부진의 먹구름이 드리운 가운데 민간 기업 규제를 강화했다. 반면 일본 정부는 개인투자자들의 주식 투자를 장려하는 등 주가 부양에 적극적이었다. 예적금 형태로 잠자고 있는 가계 부문의 금융자산을 투자로 돌리기 위해 투자 차익에 일정 기간 세금을 물리지 않는 소액투자비과세제도(NISA)를 대폭 확대하는 등 규제를 완화했다.

도쿄=정영효 한국경제신문 특파원NIE 포인트1. 세계 각국 증권시장의 시가총액 규모를 비교해보자.

2. 각국 증시의 시가총액 순위가 국가경제에 왜 중요한지 생각해보자.

3. 일본과 중국 증시가 엇갈린 방향으로 발전하는 이유를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