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플레이션
콘서트 시장의 ‘흥행 보증수표’로 꼽히는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가 열창하는 모습.  한경DB
콘서트 시장의 ‘흥행 보증수표’로 꼽히는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가 열창하는 모습. 한경DB
미국 아마존에서 일하다가 올 초 정리 해고를 당한 앤절라 웬팅크(48). 그녀는 딸에게 테일러 스위프트의 공연 입장권을 선물해주려다가 가격표를 보고 포기했다. 현재 미국에서 가장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톱스타인 스위프트의 콘서트는 천정부지로 가격이 치솟았다. 액면가 평균이 254달러(약 34만4000원)에 달한다. 이게 다가 아니다. 소비자가 티켓을 구입하기 위해선 ‘티켓 마스터’와 같은 입장권 판매 사이트에 적게는 49달러(약 6만6000원), 많게는 449달러(약 60만 원)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 그녀는 “해고 위로금으로 받은 돈을 값비싼 입장권을 사는 데 쓰는 것이 과연 책임 있는 행동일지 자문하게 됐다”라고 말했다. 美 공연·놀이동산 입장권 가격 천정부지미국 경제 매체 <월스트리트저널>(이하 WSJ)은 공연 관람, 놀이공원 입장 등 오락 비용이 천정부지로 뛰어오르고 있다면서 이 같은 현상에 ‘펀플레이션(funflation)’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재미를 뜻하는 ‘펀(fun)’과 물가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친 신조어다. 코로나19 사태가 잠잠해지고 일상 회복이 이뤄진 뒤로 오락 비용이 급등하면서 일반 미국 가정은 아예 관람을 기피하는 상황까지 발생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펀플레이션 현상이 가장 두드러진 분야는 대중음악 공연이다. 올해 들어 북미 지역을 순회한 가수들의 공연 입장권 평균 가격은 120.11달러(약 16만2300원)로 집계됐다. 지난해에 비해 7.4% 오른 가격이고, 코로나19 사태 전인 2019년보다 27% 뛰어오른 수치다. 열성 팬들의 수요가 높은 인기 가수의 공연 입장권일수록 더 크게 올랐다. 공식 사이트에서 순식간에 매진되는 데다 엄청난 웃돈이 붙어 재판매된다. 스위프트 공연의 경우 재판매 평균 가격은 1095달러(약 148만 원)를 기록하고 있다. 평범한 팬들이 선뜻 구입하기 힘든 수준이다.

놀이공원 입장권 가격도 오르고 있다. 미국 최대 테마파크인 디즈니랜드와 디즈니월드는 이달 1일 이용권 가격을 194달러(약 26만2200원)로 15달러(약 2만 원) 인상하는 등 티켓값을 전반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지난해에 이어 1년 만에 또 가격 인상에 나선 것이다. 비용 증가에 ‘포기’ 선택도 늘어
임현우 한국경제신문 기자
임현우 한국경제신문 기자
이에 따라 오락에 드는 비용을 줄이거나, 아예 즐기기를 포기하는 미국인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WSJ이 미국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37%는 “가격이 부담스러워 각종 입장권을 구입할 수 없다”라고 했다.

일본의 도쿄 디즈니랜드도 9400엔(약 8만4700원)이던 성인 일일권 티켓 가격을 이달부터 1만900엔(약 9만8200원)으로 인상했다. 1만 엔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도쿄 디즈니랜드가 개장한 1983년(3900엔)에 비해서는 세 배 가까이 뛰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