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풀이
敬: 공경할 경
而: 어조사 이
遠: 멀 원
之: 갈 지
존경하되 가까이하지는 않는다
겉으로는 공경하되 속은 멀리하다
- <논어(論語)>
공자는 평소 귀신이나 죽음, 괴이한 일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제자 자로가 귀신 섬기는 일을 묻자 공자가 답했다. “사람도 제대로 섬기지 못하거늘 어찌 귀신을 섬길 수 있겠느냐?(未能事人 焉能事鬼)”
자로가 다시 공자에게 물었다. “감히 여쭙건대 죽음이란 무엇입니까?”
공자가 다시 답했다. “삶도 아직 이해하지 못하거늘, 어찌 죽음을 알겠느냐?(未知生 焉知死)”
인문주의적 전통을 계승한 공자는 이처럼 귀신에 대해 명확한 한계를 설정했다. 공자의 이런 생각은 다음 말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백성이 의롭게 되는 일에 마음을 쏟고 귀신은 공경하되 멀리하는 것이 지혜다.(務民之義 敬鬼神而遠之 可謂知矣)”
공자는 귀신의 존재를 명확히 부인하지 않았으나 그 존재를 강조하지도 않은 것이다.
한나라 유향(劉向)이 저술한 <설원(說苑)>에 나오는 다음 대화에도 공자의 그런 입장이 잘 나타난다.
자공이 공자에게 ‘죽은 사람에게도 지각이 있습니까?’ 하고 물으니, 공자는 “죽은 자에게 지각이 있다고 말하자니 효성스러운 자손이 생업에 방해되면서까지 장사에 몰두할까 염려되고, 지각이 없다고 말하자니 불효한 자손이 죽은 이를 유기하고 장사하지 않을까 염려된다. 그걸 알고 싶거든 기다리다 죽어도 늦지 않을 것이다”라고 답했다.
가까이하지도 멀리하지도 않는다는 불가근불가원(不可近不可遠)도 함의가 비슷하다. ‘그 사람에 대해서는 불가근불가원을 원칙으로 해라. 너무 가까이해서 좋을 일이 없다’ 식으로 쓰인다. 겉으로 드러나는 언행과 안으로 품은 생각이 다르다는 표리부동(表裏不同)도 맥락이 엇비슷하다. 지혜로운 사람은 적당한 거리를 알며 예의를 갖추지만, 속까지 하나로 합하지는 않는다.
敬: 공경할 경
而: 어조사 이
遠: 멀 원
之: 갈 지
존경하되 가까이하지는 않는다
겉으로는 공경하되 속은 멀리하다
- <논어(論語)>
공자는 평소 귀신이나 죽음, 괴이한 일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제자 자로가 귀신 섬기는 일을 묻자 공자가 답했다. “사람도 제대로 섬기지 못하거늘 어찌 귀신을 섬길 수 있겠느냐?(未能事人 焉能事鬼)”
자로가 다시 공자에게 물었다. “감히 여쭙건대 죽음이란 무엇입니까?”
공자가 다시 답했다. “삶도 아직 이해하지 못하거늘, 어찌 죽음을 알겠느냐?(未知生 焉知死)”
인문주의적 전통을 계승한 공자는 이처럼 귀신에 대해 명확한 한계를 설정했다. 공자의 이런 생각은 다음 말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백성이 의롭게 되는 일에 마음을 쏟고 귀신은 공경하되 멀리하는 것이 지혜다.(務民之義 敬鬼神而遠之 可謂知矣)”
공자는 귀신의 존재를 명확히 부인하지 않았으나 그 존재를 강조하지도 않은 것이다.
한나라 유향(劉向)이 저술한 <설원(說苑)>에 나오는 다음 대화에도 공자의 그런 입장이 잘 나타난다.
자공이 공자에게 ‘죽은 사람에게도 지각이 있습니까?’ 하고 물으니, 공자는 “죽은 자에게 지각이 있다고 말하자니 효성스러운 자손이 생업에 방해되면서까지 장사에 몰두할까 염려되고, 지각이 없다고 말하자니 불효한 자손이 죽은 이를 유기하고 장사하지 않을까 염려된다. 그걸 알고 싶거든 기다리다 죽어도 늦지 않을 것이다”라고 답했다.
가까이하지도 멀리하지도 않는다는 불가근불가원(不可近不可遠)도 함의가 비슷하다. ‘그 사람에 대해서는 불가근불가원을 원칙으로 해라. 너무 가까이해서 좋을 일이 없다’ 식으로 쓰인다. 겉으로 드러나는 언행과 안으로 품은 생각이 다르다는 표리부동(表裏不同)도 맥락이 엇비슷하다. 지혜로운 사람은 적당한 거리를 알며 예의를 갖추지만, 속까지 하나로 합하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