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제는 영화라는 대중예술의 새로움을 발견하고 소통하는 축제다. 긴 세월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더 해진 영화제가 지자체장 개인의 결정에 의해 하루아침에 사라지는 일은 막아야 한다.
[생글기자 코너] 눈앞 효과만 보는 국내 영화제, 적극 보존이 필요하다
지난 4월 열린 전주영화제를 시작으로 올해 대한민국 영화제가 본격 개막됐다. 전주영화제는 작년에 비해 관객이 30% 늘었으며, 상영작 중 68.8%가 매진되는 성황을 이뤘다. 이달 무주산골영화제, 부천판타스틱영화제에 이어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부산국제영화제 등에도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작년 영화제들이 겪어야 했던 어려움을 생각해보면 국내 영화제의 활성화까지 갈 길이 멀다.

영화제 이름을 지역명으로 짓는 국내 영화제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없이 진행될 수 없다. 지자체 지원이 끊긴 영화제는 폐지 수순을 밟는다. 2023년 울산 영화제는 영화제 예산이 부족해 2회 개최를 앞두고 폐지됐다. 17년 역사의 제주영화제, 27년간 열린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은 지난해 행사를 치르지 못했다.

지역민과 국내외 영화인, 관광객들의 영화제 폐지 반대 여론이 강력한데도 영화제가 제대로 된 공론 과정 없이 파괴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 지역민들의 반대에도 영화제를 폐지한 울산시는 “더 이상 지역에 대한 신뢰가 생기지 않을 것”이란 비판을 듣고 있다.

영화제는 영화라는 대중예술의 새로움을 발견하고 소통하는 축제다. 긴 세월 수많은 사람의 노력이 더해진 영화제는 그 자체로 지역의 대표 문화유산이다. 이런 영화제가 지자체장 개인의 결정에 의해 하루아침에 사라지는 일은 막아야 한다. 관련 법 제정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눈앞에 보이는 효과에만 주목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연차가 쌓인 영화제는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미래 인재를 육성·발굴하는 새로운 ‘학교’가 될 수 있다.

유진 생글기자(계원예술고 3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