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디지털 사회
디지털 기술은 스마트폰과 알고리즘으로 보통 사람들 삶에 깊숙이 관여. 사회적 안정성을 위한 가치를 추구하도록 해야.
아이폰은 많은 것을 바꿔놓았다. 2007년 1월 9일 스티브 잡스는 맥월드 엑스포 기조연설 행사에서 애플이 휴대전화를 만든다고 선언했다. 당시에도, 오늘날에도 아이폰은 많은 것을 바꿔놓을 혁명적 제품이 틀림없다는 점은 모두가 알고 있다. 문제는 세상이 어떻게 바뀌는지 알지 못했다는 점이다. 스마트폰 세상미국의 Z세대는 하루에 약 80번 휴대전화 잠금을 해제한다. 밀레니엄 세대는 약 63번, X세대와 베이비붐 세대는 각각 49번과 30번 잠금 해제를 한다고 알려져 있다. Z세대 미국인 96%가 스마트폰 없이 화장실을 가지 않을 정도다.디지털 기술은 스마트폰과 알고리즘으로 보통 사람들 삶에 깊숙이 관여. 사회적 안정성을 위한 가치를 추구하도록 해야.
스마트폰 세상이 열리자 많은 변화가 생겨났다. 모바일과 소셜 네트워크라는 두 가지 힘이 결합하자 그 속도는 더욱 빨라졌다. 사람들은 기업의 평가 기준을 수익이 아니라 사용자 수로 바꾸기 시작했고, 과거에는 불가능해 보였던 디지털 광고가 산업을 지배한다. 오늘날 구글은 37조 기가바이트의 데이터를 수집해 0.2초 안에 개인 맞춤형 결과를 제시한다. 구글의 아이디어가 처음 공개되었을 때 모두가 반신반의했다. 하지만 스마트폰이 기하급수적으로 확대되면서 디지털 광고는 미국 전체 광고 수입의 63%를 차지한다.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은 광고 수익이 전체의 80% 이상이며, 메타의 경우 거의 98%다. 이는 소셜 네트워크가 무료이고, 그 흔적들이 디지털 광고의 재료가 되기에 가능했다. 알고리즘 세상스마트폰과 함께 변화를 견인한 요인은 알고리즘이다. 알고리즘 분석 결과 우리를 화나게 만드는 콘텐츠가 가장 많은 관심을 끈다는 점을 알아냈다. 급속도로 유포되는 뉴스가 감정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음을 밝혀낸 것이다.
와튼 경영대학원은 사회적 전달에 관한 통계를 분석한 결과 이메일로 가장 많이 전송된 기사에 오를 확률은 분노를 유발할 경우가 가장 높다는 점을 발견했다. 트위터는 이를 가장 잘 이용한다. 2010년부터 2015년 사이 트위터의 월간 사용자 수는 3000만 명에서 3억 명으로 10배나 증가했다. 언론인들이 분노를 조장하기 위해 뉴스를 실제보다 극적으로 포장하는 수준이었다면, 트위터에는 조작이 난무했다. MIT 연구진은 과학, 테러리즘, 금융 등 모든 카테고리에 포함된 12만6000개의 트위트를 사실 기반의 정확도에 따라 분류했고, 거짓이 진실보다 6배나 빠르게 퍼진다는 점을 밝혀냈다.
미국의 성인 10명 중 7명이 트위터에서 뉴스를 접한다는 조사 결과는 가짜 뉴스의 영향력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많은 사람이 소셜 미디어 회사 자체를 불신하기 시작했다. 불신은 소셜 미디어가 정치적 견해를 검열한다는 생각으로 이어졌다. 공화당 지지자의 90%가, 민주당 지지자의 60%가 정치적 검열을 의심한다. 하지만 소셜 미디어는 굳이 검열하는 수고를 하지 않는다. 알고리즘에 반영할 뿐이다. 알고리즘은 순위를 매기고 이를 추천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탓에 극단적인 콘텐츠를 선호한다, 사회적 안정성을 위한 노력스마트폰의 확산과 알고리즘은 세상을 보는 시각에도 영향을 미친다. 폭력 범죄가 대표적이다. 경제 발전과 맞물려 폭력 범죄는 빠르게 감소했다. 하지만 범죄에 대한 시각은 그렇지 않았다. 미국 성인의 최소 60%가 전년보다 더 많은 범죄가 발생한다고 믿고 있다. 원인은 자극적인 뉴스다. 1990년 <뉴욕타임스>가 129개 헤드라인에 살인 또는 살해라는 단어를 사용했지만, 2013년에는 135번 사용했다. 같은 기간 뉴욕시의 살인율이 10만명당 31명에서 4명으로 떨어졌는데도 말이다.
역사상 그 어떤 기술도 디지털만큼 우리 삶 깊숙이 침투한 적은 없다, 스마트폰의 확산과 알고리즘 덕분이다. 무료로 운영되는 디지털 서비스는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그 외부 효과로 수익을 창출한다. 그 결과 이용자들은 정당의 양극화와 파벌, 경멸 같은 분노 알고리즘에 노출된다. 그간 디지털 기술은 기존과는 다른 대우를 받아왔다. 새로운 서비스가 등장할 때마다 제도의 경직성이나 낡은 제도를 탓하기 일쑤였다. 하지만 이들 서비스가 사회에 미치는 외부 효과를 따져보면 특별 대우를 받아야 할 명확한 이유를 찾기 어렵다. 이제는 이들도 기존과 동일하게 사회적 안정성을 위한 가치를 준수할 의무를 적용받아야 한다. 새로움, 발전, 혁신이라는 명분으로 디지털 기업이 사회에 비용을 전가해왔다면, 이제는 사회가 디지털 서비스에 책임을 요구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