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관의 인물논술 강의노트
2024학년도 대입 인문논술 기본유형 다지기(4)
유형2 - 함의를 바탕으로 한 한계 도출지난 시간에 논술 유형을 ‘논리에 기초한 논리 공격’과 ‘함의를 바탕으로 한 한계 도출’, ‘유추를 적용한 문제 추론’으로 나눴는데, 이번에는 두 번째 ‘함의를 바탕으로 한 한계 도출’을 소개합니다. 물론 비판의 논제 유형이 위의 세 개로만 구분되는 것은 아닙니다. 유추 적용과 함의 도출이 모두 포함되는 경우도 있고(기준제시문이 문학작품인데 서로 다른 영역에 대해 논의하는 경우) 논리에 기반해 한계를 지적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서 배우고자 하는 것은 비판 유형의 핵심적인 전개 방법이며, 이를 기초로 여러 비판 유형의 문제를 더 깊이 있게 푸는 역량을 키워야 합니다.

함의를 바탕으로 한 한계 도출 유형은 기준제시문이 문학작품일 때 많이 사용되는 사고방식입니다. 문학작품이 의미하는 바를 얼마나 깊이 읽어낼 수 있느냐가 관건입니다. 예를 들어 <토끼와 거북이> 우화를 바탕으로 ‘협력이 중요하다’는 주장의 한계를 지적한다면 무엇을 생각할 수 있을까요? 비판해야 할 대상을 염두에 두면, 이 우화는 여러 시사점을 줍니다.

시사점 : (1)(토끼와 거북이처럼) 사회 구성원 간 속도나 일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 (2)(토끼와 거북이가 서로 각자의 방식을 수용할 수 없듯) 동등한 협력을 강요하는 것은 오히려 각 구성원에게 부당함으로 다가올 수 있다. (3)(거북이처럼) 경쟁이 동기 부여가 된다. 문학작품의 상징적 의미(혹은 비유나 사례)를 대상제시문과의 관계 속에서 다양한 각도로 생각해보고 이것을 글감으로 잡아야 깊이 있는 비판적 사유를 전개할 수 있습니다.

아래 실전형 문제를 풀어보면서 적용해봅시다. 구체적으로 문제에 대입해 풀고 주변 친구들과도 생각을 나눠보세요. 답은 다음 시간에 공개하겠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응모도 기다립니다.(이메일: imsammail@gmail.com/우편 : 서울 강남구 삼성로 61길10 3층 임재관입시논술) 다음 시간에는 학생 우수 사례도 공개하겠습니다.

[문제] 제시문 <나>를 바탕으로 <가>의 주장에 어떤 한계가 있는지 비판적으로 논술하시오. (400자 내외)

<가>

올해도 어김없이 부산 지역 우수 학생들의 면접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청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의 생활기록부에 빼곡한 3년간 공들인 성과들은 교사가 보아도 혀를 내두를 정도다. 내신이면 내신, 비교과 스펙이면 스펙, 독서 활동도 어마어마하다. 모의면접, 앞에 앉은 학생에게 첫 번째 질문,

“장래 희망이 무엇입니까?”

“CEO가 되려고 합니다.”

“경영의 목표는 뭐라고 생각합니까?”

“노동자의 평등한 권리를 되찾아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식으로 아이들은 ‘기업의 목표’ ‘경영의 목표’를 묻는 질문에 천편일률적으로 ‘정의롭고’ ‘공명정대’한 답변을 쏟아냈다. 다시 질문한다.

“학생의 그간 애쓴 흔적들을 보았는데 대단한 경쟁력이더군요. 스스로 생각하기에 학생의 경쟁력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혼자 잘하려 하지 않고 친구들과 늘 함께하려고 노력한 결과가 좋은 평가를 받은 것 같습니다.”

“그런데 학교에서 같이 공부한 친구들 모두 이곳에 오고 싶었을 수도 있을 텐데 함께 오지 못했네요? 그것은 경쟁에서 이겼기 때문 아닙니까?”

“…… 맞습니다.”

‘경쟁력 있다’ ‘경쟁에서 이겼다’라는 말은 불편해하면서 ‘(너의) 실력’이라는 말에는 거부감이 없는 이 아이들은 분명, ‘경쟁은 좋은 것’ ‘치열한 경쟁이 공정한 것’이라고 배운 적이 없는 듯했다. 사실 많은 교사가 경쟁은 인성을 파괴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경쟁은 당당하게 자신을 드러내려고 하는 노력이며, 경쟁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로 땀과 노력을 인정받는 순간이라고 가르치지 않았다. 그러니 학생들은 ‘경쟁력이 있다’라는 말은 비인간적이고 몰인정하다는 말과 등치되도록 세뇌된 것이다. 공부를 열심히 하고, 남보다 덜 자고, 노는 시간도 아껴가며 실력을 쌓은 아이들일수록 ‘네가 경쟁에서 이겼다’는 말에 죄책감을 느낀다면, 이 땅의 교육은 잘못되어도 한참 잘못되어가는 것이다.

아닌 게 아니라 경쟁하면 흔히들 약육강식, 강자를 대변하는 장, 인간소외, 삭막함, 비인간화 등 인성을 팍팍하게 만드는 부정적 단어들부터 연상하면서 경쟁이 마치 인성 교육을 망치는 주범이기라도 한 양 몰아가기 일쑤다. 경쟁 자체가 문제인가, 부당한 경쟁이 문제인가?

경쟁이 사라지면 우리 사회는 어떤 모습이 될 것인지에 대한 성찰 없이 ‘경쟁과 대립의 결과가 불평등한 현상’이라고 서술한다. 경쟁은 강자만을 배려하기 위한 것이며 경쟁에서 이기는 승자는 약자를 지배하므로 악하고, 약자는 피해자가 된다는 식의 왜곡과 오해만 남았다. 피해자인 약자를 보호할 국가의 개입이 정당화되고, 그에 따라 국가의 역할이 중요해진다. 이처럼 마치 경쟁이 제로섬의 게임인 듯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경쟁은 사실 포지티브섬 또는 ‘윈윈’의 게임이고 그 기초는 도덕에 있다. 경쟁은 억압과 달리 다른 사람들을 강탈하지 않고 노예처럼 다루지 않겠다는 약속에 기초하며, 이를 지키지 않으면 시장에서 퇴출당할 수 있다는 전제 위에 존립한다.

<나>

네가 벌써 자동차를 가지게 되었으니
친구들이 부러워할 만도 하다.
운전을 배울 때는
어디든지 달려갈 수 있을
네가 대견스러웠다.
면허증은 무엇이나 따 두는 것이
좋다고 나도 여러 번 말했었지.
이제 너는 차를 몰고 달려가는구나.
철 따라 달라지는 가로수를 보지 못하고
길가의 과일 장수나 생선 장수를 보지 못하고
아픈 아기를 업고 뛰어가는 여인을 보지 못하고
교통순경과 신호등을 살피면서
앞만 보고 달려가는구나.
너의 눈은 빨라지고
너의 마음은 더욱 바빠졌다.
앞으로 기름값이 또 오르고
매연이 눈 앞을 가려도
너는 차를 두고
걸어 다니려 하지 않을 테지.
걷거나 뛰고
버스나 지하철을 타고 다니며
남들이 보내는 젊은 나이를 너는
시속 60㎞ 이상으로 지나가고 있구나.
네가 차를 몰고 달려가는 것을 보면
너무 가볍게 멀어지는 것 같아
나의 마음이 무거워진다. 포인트
임재관
프라임리더스 
인문계 대표강사
임재관 프라임리더스 인문계 대표강사
함의를 바탕으로 한 한계 도출의 유형에서는 기준제시문인 문학작품의 상징적 의미(혹은 비유나 사례)를 대상제시문과의 관계 속에서 다양한 각도로 생각해보고 이것을 글감으로 잡아야 깊이 있는 비판적 사유를 전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