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S 프리미엄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한국 정부가 발행한 5년 만기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의 CDS 프리미엄은 지난달 29일 61bp를 찍었다. 올 들어 최고치였던 7월 6일의 56bp는 물론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 초기에 기록한 57bp도 뛰어넘었다. 신용도 떨어지면 CDS 프리미엄은 상승
CDS 프리미엄은 평소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하지만 요즘처럼 나라 안팎이 뒤숭숭할 때면 ‘국가부도 위험 지표’라는 수식어와 함께 신문에 자주 등장한다. 한국의 경제 상황을 해외 투자자들이 어느 정도로 심각하게 보고 있는지를 이 수치에서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CDS란 무엇이고, 프리미엄은 또 뭘까. 우선 CDS는 파산 위험을 사고팔 수 있도록 만든 파생금융상품이다. 채권을 발행한 기업이나 국가가 부도를 낼 경우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것인데, 일종의 보험이나 보증 계약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예를 들어 A기업이 파산하면 A사가 발행한 회사채를 보유한 투자자들은 돈을 날리게 되지만 CDS를 활용하면 손실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CDS 구매자가 위험을 털어낸 대가로 판매자에 지급하는 웃돈(premium)이 바로 CDS 프리미엄이다. bp(basis point)라는 단위로 표시하며 1bp는 0.01%포인트를 뜻한다. 보험에 가입할 때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은 보험료가 비싸지듯 채권을 발행한 기업이나 국가의 위험도가 높아질수록 CDS 프리미엄은 상승한다.
한국의 CDS 프리미엄은 2008년 세계 금융위기 당시 650bp까지 치솟았다. 그때와 비교하면 아직 심각한 수위는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 진단이지만, 오르는 속도가 너무 가파른 점은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리먼 사태’ 금융위기 때는 650bp 뚫기도

스위스에 본사를 둔 세계적 투자은행인 크레디트스위스도 최근 ‘위기설’에 휘말리면서 CDS 프리미엄이 출렁였다. 이 회사는 지난해 잇단 투자 실패로 막대한 손실을 본 이후 재무 안정성을 둘러싼 논란이 이어져왔다. 크레디트스위스의 1년물 CDS 프리미엄은 이달 3일 한때 5%를 돌파해 역대 최고치로 치솟았다.
미국 4대 투자은행 중 하나였던 리먼브러더스의 파산이 세계 금융위기로 번진 2008년을 여전히 기억하고 있는 금융시장은 예민하게 반응했다. 크레디트스위스 경쟁사인 UBS의 CDS 프리미엄까지 동반 급등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