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tesat.or.kr
[문제] 경기 활성화 정책의 일환으로 정부지출 500억원이 증가했다. 한계소비성향이 4/5라고 할 때, 총수요 증가분으로 옳은 것은?

① 1200억원
② 1800억원
③ 2000억원
④ 2500억원
⑤ 3200억원

[해설] 승수효과의 이해를 묻는 문제다. 승수효과란 정부지출을 늘리면 지출한 금액보다 많은 수요가 창출되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정부가 한 기업에서 1억원의 재화를 구입하면 해당 기업의 고용과 이윤이 늘어나고, 그 기업 근로자의 소득과 주주들의 이윤이 증가해 이들의 소비가 증가한다. 이런 소비 증가로 다른 기업이 생산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수요도 증가한다. 이런 과정에서 정부가 처음 지출한 금액보다 많은 수요를 창출한다. 정부지출승수는 (1/1-한계소비성향)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지출승수는 5다. 정부지출 500억원에 5를 곱한 2500억원이 총수요 증가분이다. 정답 ④

[문제] 1급 가격차별이 시행되는 독점시장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한계수입곡선은 시장수요곡선과 동일하다.
② 모든 소비자는 각각 다른 가격을 지불한다.
③ 소비자잉여는 매우 적지만 0보다 크게 존재한다.
④ 완전경쟁시장과 동일한 수량이 시장에 공급된다.
⑤ 일반 독점시장과 비교하면 사회적 후생이 더 크다.

[해설] 1급 가격차별이 시행되는 독점시장에서는 각각의 소비자에게 그 소비자의 유보가격(소비자가 지불할 용의가 있는 최대 가격)만큼의 가격을 책정해 완전 가격차별이 이뤄진다. 독점기업은 항상 소비자의 유보가격에 물건을 판매하고, 이 때문에 독점기업의 한계수입은 소비자의 유보가격이 돼 한계수입곡선과 수요곡선이 일치한다. 기업의 이윤 극대화 조건인 한계수입(MR)=한계비용(MC)은 수요곡선과 MC곡선이 만나는 점으로 완전경쟁시장에서의 거래량과 동일하다. 모든 소비자에 대해 각각의 유보가격을 가격으로 책정하므로 소비자잉여는 0이며 소비자들은 각각 다른 가격을 지불하고, 모든 사회적 후생은 생산자에게 귀속된다. 따라서 소비자잉여는 존재하지 않으며, 사회적 후생은 생산자 잉여와 같다. 정답 ③

[문제] 다음 중 우리나라의 총수요에 미치는 영향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정부가 재정지출을 변화시켰다.
② 인접국가의 소득이 증가했다.
③ 구리·철강과 같은 원자재 가격이 하락했다.
④ 주식 시장의 호황으로 가계의 부가 증가했다.
⑤ 기업가들이 미래에 대해 낙관적인 견해를 가지고 투자하기 시작했다.

[해설] 총수요(Aggregate Demand)란 한 경제체제 안에서 가계, 기업, 정부, 외국 등 경제주체가 구입하고자 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총합이다. 인접국가의 소득이 늘어나면 수출이 확대돼 총수요가 늘어난다. 정부지출은 총수요를 구성하는 한 요소다. 투자가 확대되거나 가계의 부가 증가하여 소비가 늘어나면 총수요가 증가한다. 반면 구리나 철강 같은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면 기업의 생산비용이 감소해 총공급이 증가한다. 정답 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