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플레이션 car + inflation
카플레이션을 주도한 것은 전기차를 비롯한 친환경차다. 전기차 판매 대수는 1년 새 43.1% 급증했지만 ‘규모의 경제’ 효과를 체감하기 어렵다. 핵심 원자재인 니켈, 리튬 등의 가격이 고공행진하고 있어서다.
업계 전문가들은 세계 자동차 부품 공급망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카플레이션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지난 11일 보고서에서 “우크라이나 사태, 반도체 공급난, 소재 가격 급등에 따라 각국에서 신차와 중고차 가격이 오르고 있다”고 했다. 특히 완성차 업체마다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고급 모델에 주력하는 데다 환경 규제도 강해지는 탓에 ‘저렴한 자동차’는 시장에서 사라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자칫 신차 수요가 위축되고 ‘생계 수단’으로 차를 모는 취약계층까지 피해를 볼 수 있는 만큼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연구원 측은 주문했다. “신차 수요 꺾이고 취약계층 피해 볼 수도”
시장조사업체 오토포캐스트솔루션에 따르면 올 들어 차량용 반도체 부족으로 인한 세계 자동차업계의 생산 차질은 130만 대를 넘어섰다. 반도체 공급난은 연말이나 돼야 풀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임현우 기자의 키워드 시사경제] 민간회사 무디스·S&P·피치가 쥐락펴락](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665.3.jpg)
![[임현우 기자의 키워드 시사경제] 애플·메타 잡아라…'삼성·구글 연합군' 참전](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403.3.jpg)
![[임현우 기자의 키워드 시사경제] 몸값 1000억弗 넘는 스타트업, 세계에 6개뿐](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069610.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