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대선, 20대 표심'에 쓰인 '대'의 정체는 의존명사 '대(代)'다. 이는 '대신하다, 교체하다'란 의미이다. 여기서 쓰임새가 넓어져 '세대, 계보' 등의 용도로도 쓰이게 됐다.
20대 대선에서는 유난히 2030세대가 주목을 받았다. 이들의 시선이 어디로 향하느냐에 따라 선거 판세가 요동쳤다. 대선 후보들도 이들의 표심(票心)을 잡기 위해 ‘3대 청년공약’이니 ‘5대 청년 권리장전’이니 하는 정책들을 쏟아냈다. ‘20대 대선, 20~30대 표심, 3대 공약.’ 짧은 문구지만 여기에는 우리말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특성 몇 가지가 담겨 있다. 말의 정체 알아야 정확한 쓰임새 구사해무엇보다 ‘-대’ 자가 여러 의미로 쓰였음이 눈에 띈다. 형태는 같아도 의미는 다르다는 것을 모국어 화자는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한자로 하면 좀 더 구체적으로 보인다. ‘20代 대선. 20代 표심, 3大 공약’이다.대개 말의 의미는 문맥을 통해, 또는 발화의 맥락을 통해 자연스레 알게 된다. 하지만 일부 단어는 같은 형태로 여러 가지로 쓰이기 때문에 구별하기가 쉽지 않을 때도 있다. 물론 이런 경우는 형태만 같을 뿐 실제로는 다른 단어다. 그중 ‘대’는 의미와 기능별로 용법이 까다롭다. 의존명사, 자립명사, 접미사, 접두사 등 다양하게 쓰이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띄어쓰기도 달라진다. 말의 정체를 제대로 알아야 쓰임새를 정확히 구사할 수 있다.
우리말 ‘대’는 적어도 다섯 가지를 알아둬야 한다. ‘大-臺-代-帶-對’가 그것이다. 비교적 쉬운 것부터 살펴보자. 大는 ‘큰 대’ 자다. ‘세계 7대 불가사의’ ‘한국 30대 기업’ 같은 데 쓰인 글자다. ‘일자리 3대 공약’ 등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말이다.
‘대(臺)’의 쓰임새도 활발하다. 이는 ‘토대, 무대’를 뜻한다. 그래서 원래 ①받침이 되는 시설이나 이용물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첨성대’에 이 臺를 쓴다. 여기서 의미가 확장돼 주로 다음 두 가지로 쓰이는데, 일상에선 이게 더 자주 사용된다. ②차나 기계 등을 세는 말, 즉 단위명사로서의 쓰임새다. ‘자동차 500대’ ‘피아노 10대’ 같은 게 그 예다. 이 대(臺)는 윗말과 띄어 쓰는 게 원칙이다(‘자동차 1만 대’ ‘피아노 열 대’). ③값이나 수를 나타내는 말 뒤에서 ‘대강의 범위’라는 뜻을 더하기도 한다. 이때는 접미사이므로 윗말에 붙여 쓴다. ‘1만 원대’ ‘10억 원대’ ‘수백억대 재산가’ 같은 표현을 할 때 이 臺를 쓴다. ‘20代’, 문맥 따라 계보 또는 나이 나타내‘20대 대선, 20대 표심’에 쓰인 ‘대’의 정체는 의존명사 ‘대(代)’다. 이는 ‘대신하다, 교체하다’란 의미이다. 여기서 쓰임새가 넓어져 ‘세대, 계보’ 등의 용도로도 쓰이게 됐다. 대(代)는 우선 ‘물건값으로 치르는 돈’을 뜻한다. 이때는 접미사이므로 윗말에 붙여 쓴다(‘도서대/신문대/양곡대’). 둘째 代가 단독으로 명사로 쓰일 때는 혈통이나 계보를 나타낸다. ‘대를 잇다’ 할 때 이 代다. ‘할아버지, 아버지, 손자 3대’ 같은 표현에서 볼 수 있다. ‘20대 대선’이라고 할 때도 같은 의미의 ‘代’이다. 셋째 사람의 나이를 10년 단위로 끊어 말할 때도 쓴다. 의존명사라 윗말이 한글이면 띄어 쓰고, 아라비아 숫자일 때는 붙여 쓴다. ‘10대 소녀’ ‘20대 표심’이라고 할 때 쓰는 말이다. 한글로 쓰면 ‘십 대 소녀’ ‘이십 대 표심’처럼 띄어쓰기가 달라지는 차이가 있다.
‘대(帶)’도 쓸 일이 많은 단어다. 이는 ‘띠 대’ 자로, 허리띠를 차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다. 글자 모양이 띠처럼 생긴 것을 염두에 두면 외우기 쉽다. 여기서 ‘띠 모양의 공간’ 또는 ‘일정한 범위의 부분’이란 뜻을 나타내게 됐다. ‘화산대/툰드라대’ ‘온대/열대 지역’ ‘공감대/구명대’ 같은 말이 그 예다. 중국의 육·해상 실크로드를 뜻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에도 이 帶가 쓰였다.
‘대하다, 마주하다’란 뜻의 ‘대(對)’도 알아두면 글쓰기에 유용하다. 주로 두 가지로 쓰이는데, 첫째 ‘대국민 사과’ ‘대미(對美) 수출’ 같은 데 쓰인 ‘대’는 접두사이므로 항상 뒷말과 붙여 쓴다. 둘째 대비나 대립을 나타낼 때는 의존명사이므로 앞말과 띄어 쓴다. ‘자본주의 대 사회주의’ ‘10 대 1의 경쟁률’ 같은 데 쓰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