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문화 침탈은 세계 패권에 도전하려는 의도와 관련이 있다. 한국 문화와 역사가 중국의 일부인 것처럼 주장하면서 한국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자신들의 의도를 정당화하려는 것이다.
지난 4일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한복을 입은 여성이 등장해 논란이 있었다. 중국의 소수민족 중 하나인 조선족 의상이라는 것이 중국 측 주장이다. 그러나 중국이 한국의 고유문화를 자신들의 문화인 것처럼 둔갑시킨 일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그들은 중국 전통음식인 파오차이가 한국 고유 음식인 김치의 원조라고 주장하기도 했다.중국의 문화 침탈은 세계 패권에 도전하려는 의도와 관련이 있다. 중국이 패권국이 되려면 태평양으로 진출해야 하는데 그 길목에 있는 곳이 바로 한반도다. 그러나 당장 한국을 자신들의 세력권에 두기에는 아직 중국의 힘이 모자라다. 대신 중국은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빼앗는 전략을 택했다. 한국 문화와 역사가 중국의 일부인 것처럼 주장하면서 한국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자신들의 의도를 정당화하려는 것이다.
중국 동북부 일대에 있는 고구려와 발해 유적지를 여행한 적이 있다. 그곳에서 어떤 중국인 가이드는 광개토대왕릉비를 가리키며 “이것은 중국의 자랑스러운 역사를 기록한 비석인데 한국인들은 이것을 자신들의 역사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했다. 중국은 고구려와 발해 역사를 자신들의 역사에 편입시키려는 이른바 ‘동북공정’에 1조원이 넘는 돈을 쏟아부었다.
그 결과 관광객에게까지 고구려사를 중국 역사라고 거리낌 없이 주장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역사와 문화는 한 나라를 이루는 뿌리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의 움직임은 단순히 역사·문화 침탈에 그치지 않을 것이다. 우리 역사와 문화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우리의 정체성을 지켜나가야 한다.
이도윤 생글기자(Saint Paul Academy Daec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