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
-
생글기자
K컬처 인기, 한복산업 성장 기회로 활용하자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전 세계적 흥행에 성공하며 작품에 나오는 한복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하지만 한복 산업에 대한 정부의 효과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비판이 나온다.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승수 의원은 최근 “한복은 단순히 옷이 아니라 한국의 전통적 미감과 국가적 정체성을 세계에 소개하는 문화적 자산”이라며 문화체육관광부의 정책적 지원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문체부의 한복 산업 실태 조사는 2022년부터 중단됐다. 한복 산업이 처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산업 성장의 기반이 되는 연구·개발 지원 역시 지난 5년간 두 차례에 불과했다. 한복 문화 진흥을 위해 설립한 공공기관인 한국한복진흥원은 최근 3년간 운영하던 사업이 중단돼 내년 정부 예산안에 따르면 국비 지원을 전혀 못 받게 됐다.법적 기반도 취약하다. 한식은 한식진흥법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가, 한옥은 한옥 등 건축 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국토교통부가 지원하고 있다. 반면 한복은 관련 법이 없어 제도적 뒷받침이 부족하다. 문체부는 10월 21일을 한복의 날로, 10월 셋째 주를 한복 문화 주간으로 지정했지만, 실효성 있는 한복 산업 활성화 방안은 마련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K-팝 등 한류 콘텐츠가 세계 곳곳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지금은 한복을 세계에 알릴 좋은 기회다. 우리가 가진 또 하나의 문화 자산인 한복을 제대로 활용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이다은 생글기자(청심국제고 3학년)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성년례와 함께 열린 한복 졸업식
지난 11일 서울 대조동 동명여고에서 열린 102회 졸업식 및 성년례에서 형형색색의 한복을 차려입은 졸업생들이 환하게 웃고 있다. AP연합뉴스
-
생글기자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에 등장한 한복, 가볍게 보지 말자
지난 4일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한복을 입은 여성이 등장해 논란이 있었다. 중국의 소수민족 중 하나인 조선족 의상이라는 것이 중국 측 주장이다. 그러나 중국이 한국의 고유문화를 자신들의 문화인 것처럼 둔갑시킨 일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그들은 중국 전통음식인 파오차이가 한국 고유 음식인 김치의 원조라고 주장하기도 했다.중국의 문화 침탈은 세계 패권에 도전하려는 의도와 관련이 있다. 중국이 패권국이 되려면 태평양으로 진출해야 하는데 그 길목에 있는 곳이 바로 한반도다. 그러나 당장 한국을 자신들의 세력권에 두기에는 아직 중국의 힘이 모자라다. 대신 중국은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빼앗는 전략을 택했다. 한국 문화와 역사가 중국의 일부인 것처럼 주장하면서 한국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자신들의 의도를 정당화하려는 것이다.중국 동북부 일대에 있는 고구려와 발해 유적지를 여행한 적이 있다. 그곳에서 어떤 중국인 가이드는 광개토대왕릉비를 가리키며 “이것은 중국의 자랑스러운 역사를 기록한 비석인데 한국인들은 이것을 자신들의 역사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했다. 중국은 고구려와 발해 역사를 자신들의 역사에 편입시키려는 이른바 ‘동북공정’에 1조원이 넘는 돈을 쏟아부었다.그 결과 관광객에게까지 고구려사를 중국 역사라고 거리낌 없이 주장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역사와 문화는 한 나라를 이루는 뿌리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의 움직임은 단순히 역사·문화 침탈에 그치지 않을 것이다. 우리 역사와 문화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우리의 정체성을 지켜나가야 한다.이도윤 생글기자(Saint Paul Academy Daechi)
-
경제 기타
코로나 속 한가위…비대면으로 사랑을 전하세요
한가위 명절을 앞두고 동아백화점 경북 구미점을 찾은 어린이들이 한복을 차려입고 셀카봉으로 사진과 동영상을 찍고 있다.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추석 연휴에 이동을 자제하고 온라인 성묘, 화상 인사로 대체하는 등 ‘비대면 명절’ 문화를 당부했다.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