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 강우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효과를 내려면 강수량이 시간당 10㎜ 이상 돼야 하는데 현재 기술 수준은 이에 못 미친다. 다양한 기술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생글기자 코너] 미세먼지 줄여준다는 인공 강우…다양한 기술연구 필요
지난달 강원 평창군 대관령에서 항공기와 드론을 활용한 인공 강우 실험이 있었다. 인공 강우는 구름 속 작은 물방울이 뭉쳐지도록 ‘비 씨앗’을 뿌려 인공적으로 비가 내리게 하는 것이다. 가뭄을 해소하는 한편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으로도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인공 강우가 실제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많은 전문가들은 지나친 기대는 말아야 한다며 회의적인 의견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기술 수준에서 인공 강우가 성공할 수 있는 기상 조건과 미세먼지가 많은 날씨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인공 강우는 구름이 많이 낀 저기압 상태에서 성공할 확률이 높다. 구름 속 작은 수증기 입자가 뭉치게 해 빗방울이 되도록 하는 것이 인공 강우의 기본 원리이기 때문이다. 반면 미세먼지는 주로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구름이 많지 않은 날 심해진다. 또 인공 강우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효과를 내려면 강수량이 시간당 10㎜ 이상 돼야 하는데 현재 기술 수준은 이에 못 미친다. 인공 강우에 활용되는 물질인 요오드화 은 등이 인체에 유해하다는 논란도 제기된다.

다만 앞으로 기술 발전에 따라 인공 강우의 효과가 달라질 수는 있다. 인공 강우 기술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낼 수 있는 또 다른 기술을 발견해낼 가능성도 있다. 미세먼지 저감은 물론 수자원 관리에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최준원 생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