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심 - ESIM·내장형 가입자 식별 모듈
유심은 2000년대 중반 국내에 처음 등장한 이후 크기가 계속 작아졌다. LG유플러스가 지난 10월 선보인 유심에는 물리적 복제 방지 기능까지 추가됐다. /한경DB
유심은 2000년대 중반 국내에 처음 등장한 이후 크기가 계속 작아졌다. LG유플러스가 지난 10월 선보인 유심에는 물리적 복제 방지 기능까지 추가됐다. /한경DB
새 스마트폰을 개통할 때 반드시 필요한 것이 유심(USIM)이다. 손톱보다 자그마한 크기의 유심은 메모리 카드의 일종이다. 가입자 식별정보와 더불어 주소록, 금융정보 등을 기록할 수 있어 일명 ‘모바일용 신분증’이라 불린다.

그런데 해외 통신시장에서는 유심의 자리를 e심(ESIM·내장형 가입자 식별 모듈)이 대체하는 추세다. e심은 가입자 정보를 인증하고 통신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칩(chip)이라는 점에서는 유심과 똑같다. 다만 물리적으로 장착하는 유심과 달리 e심은 스마트폰 안에 내장돼 있다. QR코드를 활용해 통신사에서 정보를 내려받기만 하면 된다. 현재 69개국, 175개 통신사가 e심 서비스를 도입한 상태다. ‘폰 하나로 번호 두 개’ 가능해진다내년 9월 1일부터 국내에도 e심이 본격 도입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용자 편익을 높이고 이동통신 시장의 경쟁을 촉진한다는 취지로 마련한 ‘스마트폰 e심 도입 방안’을 지난 21일 발표했다.

유심이 e심으로 바뀌면 소비자는 무엇이 편해질까. 일단 전화기를 교체할 때마다 유심을 갈아 끼울 필요가 없어지고, 단말기 구입 비용도 조금이나마 아낄 수 있다. 현재 유심 판매 가격은 7700원인 반면 스마트워치 e심에 정보를 내려받는 비용은 2750원이다. 통신업계는 스마트폰 e심 비용도 2000~3000원 선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비대면을 통한 알뜰폰 개통이 편리해지는 효과도 기대된다.

또 스마트폰 한 대로 번호 두 개를 쓰는 것이 가능해진다. e심을 내려받고 유심까지 꽂으면 ‘듀얼 심(Dual SIM)’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전화를 개인용과 업무용으로 분리하길 원하는 이들에게 유용할 수 있다. 유심은 데이터가 저렴한 A통신사에, e심은 멤버십 할인 혜택이 큰 B통신사에 가입하는 식으로 요금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듀얼 심은 미국, 중국처럼 땅덩어리가 넓은 나라에서 인기가 좋다. 지역마다 이동통신 서비스 품질에 차이가 커 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많이 쓴다. 한국은 전국 어디서든 통신사 서비스가 원활한 편이어서 듀얼 심 수요가 해외만큼 많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다만 소비자들의 선택지가 넓어지고 통신시장 경쟁을 촉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통신시장 경쟁 촉진해 소비자에 이익”
[임현우 기자의 키워드 시사경제] e심 내장한 스마트폰…전화번호 두 개 쓸 수 있어
삼성전자는 내년 하반기부터 e심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을 국내에 출시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e심 도입 전까지 제도 개선, 통신사 시스템 개편 등 제도적 기반을 다져둔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듀얼 심 이용자가 스마트폰을 잃어버릴 경우 단말기 고유식별번호(IMEI)를 사전에 하나만 등록했더라도 분실 신고를 마칠 수 있도록 하는 ‘IMEI 사전등록 서비스’를 구축한다. 정부는 국내의 e심 기술 연구개발(R&D)도 지원하기로 했다. e심 서버 공급의 80%를 유럽 3개 통신사가 독차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