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금융의 기원' 고대 바빌로니아까지 올라간다는데 …
“엄마, 어디 가세요?”'금융의 기원' 고대 바빌로니아까지 올라간다는데 …
“은행에 돈 찾으러 간다.”
“예? 휴대폰 결제하면 되죠. 다 돼요.”
“^^;;”
은행을 보는 시각과 개념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요즘 학생들은 돈을 찾으러 은행에 간다는 부모님의 말을 즉각 이해하지 못합니다. 책도, 피자도, 모자도 모바일 결제로 사는 시대에 돈을 찾아서 지불한다는 개념이 옅어진 것이죠. 최근 은행 창구에 직접 가본 학생 비율은 얼마나 될까요? 제로(0)에 가깝지 않을까요? 현금자동입출금기(ATM)가 무엇인지도 잘 모를 겁니다. 상황이 이러니까, 은행들이 지점과 ATM을 자꾸 줄입니다. 젊은 세대일수록 은행을 잘 방문하지 않기 때문이죠.
은행들은 새로 등장하는 서비스로 무장해야 합니다. 빠르게 변하는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는 모바일 금융서비스가 아침저녁으로 등장하는 시대에 변하지 않으면 도태됩니다. 은행들은 테크핀 기업 움직임에 주목하고, 핀테크를 접목해야 합니다. 테크핀은 카카오 같은 정보기술(IT) 기업이 금융업에 뛰어드는 것을 말하고, 핀테크는 기존 금융기업이 IT를 접목하는 형태를 말하죠. 경쟁은 피할 수 없습니다.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금융업의 역사는 고대 바빌로니아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만 은행업의 시초는 13~14세기 유럽에서 나타났습니다. 튼튼한 금고를 가진 환전상이 금을 보관하면서 금 보관증을 발행했죠. 이것이 화폐처럼 거래 수단이 됐습니다. 예금업무였고 지급업무였죠. 환전상들은 금 주인 중에서 10% 정도만 금을 찾으러 오고 나머지 90%는 금 보관증을 화폐처럼 계속 사용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환전상들은 남은 금 90%에 대한 증서를 발행해서 빌려주고 이자를 받았다고 합니다. 대출업무였죠. 상호 신뢰가 바탕이었습니다.
이런 와중에 거대한 금융 가문과 금융 기업이 생겼습니다. 로스차일드 가문은 대표적인 금융 가문입니다. 영국과 미국에서 은행업이 번창했고, 우리나라에도 일제 강점기 때 처음으로 은행이 등장했습니다. 은행은 중앙은행, 상업은행(민간은행), 국책은행, 특수은행 등 다양한 형태로 진화했어요.
그렇다고 은행업이 사라질 것 같지는 않습니다. 사람들과 기업들은 예금과 대출을 빈번히 이용해야 하지요. 현금 없이 거래하는 시대에 은행업은 어떻게 진화할까요? 은행이 어떤 곳인지, 어떻게 작동하는 곳인지, 향후 진화 경로는 어떻게 될지를 4, 5면에서 더 알아봅시다.
고기완 한경 경제교육연구소 연구위원 dad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