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기와 글쓰기
▶플랫폼이 무엇인지, 어떤 기능을 하는지 알아보자.
네이버와 카카오의 역사는 IT 플랫폼 경쟁의 과정으로 요약된다.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와 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이사회 의장은 첫 만남도 그렇다. 이 GIO는 1999년 인터넷 검색 서비스를 운영하는 네이버컴을 창업했다. 앞서 김 의장은 1998년 온라인 게임 유통업체인 한게임커뮤니케이션을 설립했다. 두 회사는 모두 수익을 낼 수 있는 일정 규모의 이용자를 확보하는 것을 첫 번째 목표로 삼았다. 한게임은 서비스 개시 3개월 만에 회원 수가 100만 명을 넘어섰다. 하지만 무료라서 돈은 제대로 벌지 못했다.▶플랫폼이 무엇인지, 어떤 기능을 하는지 알아보자.
두 기업 간 경쟁이 ‘국지전’ 성격으로 연기를 피우기 시작한 때는 김 의장이 NHN을 떠나 카카오(당시 아이위랩)를 설립한 2006년이다.
스마트폰 확산을 앞두고 네이버와 카카오는 모바일 메신저라는 또 다른 IT 플랫폼에서 경쟁의 열기가 뜨거워지기 시작했다. 네이버는 네이버톡, 라인 등을 잇따라 내놨지만 카카오톡에 국내 시장을 빼앗겼다. 다만 네이버의 라인은 일본, 대만, 태국 등에서는 ‘국민 메신저’로 불리는 등 해외에서 크게 성공했다.
김주완 한국경제신문 기자 kjwan@hankyung.com
![[숫자로 읽는 교육·경제] '버블 붕괴 직전' 일본 닮아가는 한국 부동산](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069642.3.jpg)
![[숫자로 읽는 교육·경제] 서울대, 2028년 입시서 지역 인재 더 뽑는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1992953.3.jpg)
![[숫자로 읽는 교육·경제] 소비쿠폰發 '반짝 호황'…온기 벌써 식었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1992954.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