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조상들은 음력 열닷새째 날을 다양한 말로 나타냈다. 가장 흔히 쓰는
'보름' 외에 이날 밤을 달리 '십오야(十五夜)'라고도 했다. 조선 중종 때 문신인
이행(1478~1534)이 지은 시조 '八月十五夜(팔월십오야)'(팔월 보름날 밤에)가 전해온다.
절기상으로는 어느새 봄비가 내린다는 우수도 지나고 경칩(3월 5일)을 앞두고 있다. 하지만 우리네 풍습으로는 여전히 새해다. 불과 열흘 전에 음력으로 정월 초하루인 설을 쇠었고, 며칠 뒤면 열닷새 즉 ‘보름날’이다. 새해 첫 보름달은 연중 가장 크고 밝게 뜬다고 해서 예부터 특히 ‘대보름’이라고 했다. 지금은 ‘대보름(날)’이라고 하면 ‘음력 정월 보름날을 명절로 이르는 말’이다. 음력 열닷새…‘오’가 세 개라 ‘삼오야’라 불러우리 조상들은 음력 열닷새째 날을 다양한 말로 나타냈다. 가장 흔히 쓰는 ‘보름’ 외에 이날 밤을 달리 ‘십오야(十五夜)’라고도 했다. 조선 중종 때 문신인 이행(1478~1534)이 지은 시조 ‘八月十五夜(팔월십오야)’(팔월 보름날 밤에)가 전해온다. ‘십오야’가 예부터 써온 말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말은 특히 음력 8월 보름을 가리키기도 한다. ‘추석’ 또는 ‘한가위’라고도 하는데, 이는 명절로 이르는 말이다.'보름' 외에 이날 밤을 달리 '십오야(十五夜)'라고도 했다. 조선 중종 때 문신인
이행(1478~1534)이 지은 시조 '八月十五夜(팔월십오야)'(팔월 보름날 밤에)가 전해온다.
‘십오야’는 1979년 혼성밴드 와일드캐츠가 같은 제목으로 부른 노래가 인기를 끌면서 언중 사이에 널리 알려졌다. “십오야 밝은 둥근달이 둥실 둥실 둥실 떠오면~ 설레는 마음 아가씨 마음~.” 경쾌하고 빠른 템포로 응원가로도 많이 불린 이 노래의 원곡은 가수 김상희가 불렀던 ‘삼오야 밝은달’이다. ‘십오야’를 ‘삼오야’라고도 부른다.
우리말에는 이처럼 어떤 수나 때를 나타내는, 독특한 방식의 말이 꽤 있다. ‘이팔청춘’과 ‘과년’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모두 16세 무렵의 꽃다운 청춘을 뜻하는 말이라는 점이다. 춘향전에서 이몽룡과 성춘향이 처음 만나 말을 틀 때 이 얘기가 나온다. 몽룡이 나이를 묻자, 춘향이 “십육 세”라고 대답하고 몽룡은 “나와 동갑 이팔이라”라고 화답한다. 이팔(二八), 즉 ‘팔’이 두 개이니 십육을 나타내는 말이다. 이몽룡과 성춘향이 만나 사랑을 나눈 게 16세 때이니 유교 문화가 지배하던 당시로선 파격적인 애정행각이었던 셈이다. ‘세이레’ 등 사라져가는 말 지키고 보듬어야과년(瓜年)은 ‘결혼하기에 적당한 여자의 나이’를 뜻한다. “딸이 자라 어느덧 과년에 이르렀다”처럼 말한다. 그런데 뜬금없이 웬 ‘오이 과(瓜)’ 자가 들어갔을까? 과년은 ‘파과지년(破瓜之年)’에서 온 말로 瓜를 파자하면 ‘팔(八)’이 두 개 나오는데 여기서 ‘이팔’과 함께 ‘16’이란 의미가 만들어졌다.
‘세이레’ ‘삼칠일’도 ‘이팔청춘’과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진 말이다. 세이레는 ‘아기가 태어난 지 스무하루(21일)가 되는 날’을 뜻한다. ‘이레(7일)’가 세 개라는 뜻에서 붙은 말이다. 이를 또 ‘삼칠일’이라고도 했다. ‘칠일’이 세 개라는 뜻이다. 의학이나 위생수준이 열악했던 옛날에는 면역력이 없는 갓난아기의 외부 노출을 극히 조심했다. 그래서 아기가 태어난 뒤 세이레 동안은 대문에 특별한 장식을 함으로써 외부인의 출입을 막았다. 그것이 ‘금줄(禁-)’이다. 태어난 아이가 아들일 때는 금줄에 빨간 고추를 숯과 함께 매달고, 딸일 때는 솔가지를 달았다. 요즘은 찾아보기 힘든 문화다. 하지만 그 안에 담긴 우리말만은 지키고 보듬어야 할 대상이다.
마찬가지로 사십구재(四十九齋)를 ‘칠칠재(七七齋)’라 한다는 것도 알아둘 만하다. 사십구재는 ‘사람이 죽은 지 49일 되는 날에 지내는 재’를 말한다. 이를 자칫 ‘사십구제’로 적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재(齋)란 ‘(절에서) 명복을 빌기 위해 부처에게 드리는 공양’을 말한다. 제(祭)는 ‘제사’를 뜻하는 글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