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 4차 산업혁명과 개인정보
소셜 데이터는 공유로 가치 창출
투명성과 주체성을 바탕으로
데이터 주도권 확보 경쟁해야
디지털 세상에서는 일거수일투족이 기록된다. 몇 시에 일어나 어디로 얼마만큼 이동했는지 스마트폰의 앱(응용프로그램)과 GPS가 기록하고, 시속 몇 킬로미터로 운전했는지 교차로의 CCTV가 기록한다. 마트에 설치된 카메라는 주차한 위치를 기록하고, 차량의 내비게이션은 출발지와 도착지, 그리고 출발 시간과 도착 예상 시간을 기록한다. 여기에 소셜미디어에 저녁 메뉴와 상대방의 사진까지 남긴다면 일상 중에 기록되지 않는 행동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소셜 데이터는 공유로 가치 창출
투명성과 주체성을 바탕으로
데이터 주도권 확보 경쟁해야
기하급수적으로 수집되는 소셜 데이터
소셜 데이터란 개인의 활동, 습관, 관심사 등에 관한 정보이자, 개인을 둘러싼 관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개인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교류하는 상대방이 누구인지, 어디서 만났는지, 어떤 생각을 가진 사람인지 등이 모두 기록된다. 소셜 데이터의 일부는 내비게이션에 목적지를 입력할 때처럼 직접적이고 의도적으로 기록되지만, 인근 맛집을 검색하는 동안 나의 위치정보가 공유되는 경우처럼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기록되기도 한다.
한편, 소셜 데이터의 특징은 새로운 가치를 받기 위해서 제공된다는 점이다.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특정 데이터의 공유가 전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구글에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때 입력한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처럼 자발적 혹은 비자발적으로, 적극적 혹은 소극적으로 정보가 수집되는 특성으로 인해 소셜 데이터는 기하급수적으로 수집되고 있다. 오늘날 소셜 데이터가 2배로 쌓이는 시간은 18개월이며, 이 속도는 5년 이내에 10배로, 10년 이내에는 100배로 증가할 것이다. 디지털 세계에서 남기는 우리의 흔적이 모두 소셜 데이터가 되기 때문이다. 이런 디지털 흔적은 다양한 기준에 의해 걸러지고 분석돼 선호와 트렌드를 파악하고, 행동 예측을 위해 활용된다.
투명성과 주체성을 통한 소셜 데이터의 활용
데이터로 인한 혜택과 함께 자라난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불안감은 개인정보보호법과 같은 규제를 만들어냈다. 규제 덕분에 누가 어떤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하는지 알 권리가 개개인에게 주어졌다. 하지만 오늘날 이런 보호장치는 더 이상 기능하지 못한다. 광범위하게 개인정보가 수집되는 탓에 개개인은 수집되는 정보 일체를 감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설령 제공하는 모든 개인정보를 완전하게 통제하더라도 나와 관계를 맺고 있는 가족이나 동료 등 다른 사람이 공유한 나에 대한 정보까지 모두 통제하기는 어렵다. 개인에게 전적으로 주어진 정보의 통제권도 그 의미를 상실하고 있다. 개인정보의 통제권을 발동해 개인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경우 관련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무엇을 위한 통제인지가 불명확해진 것이다.
이에 대해 《포스트 프라이버시 경제》의 저자 안드레스 와이겐드는 ‘투명성’과 ‘주체성’의 원칙이 소셜 데이터의 오용으로 인한 위험을 낮추면서 활용에 다른 혜택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투명성이란 자신의 데이터를 알 권리를 의미한다. 누가 어떤 데이터를 소유하고, 공유된 소셜 데이터가 나에게 어떤 혜택을 가져다줄 것인지에 대해 알 권리다. 주체성이란 자신의 데이터를 스스로 이용할 권리를 의미한다. 이는 제공한 데이터를 토대로 기업이 파악한 선호도와 패턴에 기반해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는 개인의 권리를 의미한다. 그리고 투명성과 주체성은 데이터 제공자와 데이터 기업 모두에 적용돼야 데이터 권력의 균형이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 활용의 주도권 확보
우려되는 다양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개인정보로 인한 혜택을 누리기 위해서는 일단 공유돼야 한다. 대출을 받을 때, 의료서비스를 받을 때, 직장을 구할 때 개인정보는 각자에게 ‘더 나은 의사결정’이라는 형태로 혜택을 줄 것이다.
문제는 데이터 활용의 주도권을 누가 갖는가다. 최종 결정의 주체는 언제나 개인이어야 한다. 주도권이란 개인정보 공유의 실익을 스스로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 공유의 대가는 최소한 공유로 인한 혜택으로 상쇄돼야 한다. 많은 신기술이 그렇듯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기술 자체가 아니다. 변화는 기술을 사용하고, 이로 인한 사회규범이 바뀔 때 시작된다. 기술이 대신 해줄 수 없는 한 가지는 우리가 어떤 미래를 원하는지 결정하는 일이다. 소셜 데이터 활용에 관한 원칙 수립을 데이터 기업에만 맡겨둘 수 없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