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두째'는 맨 처음에서 열두 번째라는 뜻이다. 차례, 순서를 말한다.
"위에서 열두째 줄을 읽어 보아라"처럼 쓴다. 이에 비해 '열둘째'는
열두 개째란 뜻이다. 지금까지 모두 해서 몇 개째임을 말한다.
헷갈리는 수의 세계에 조금 더 깊이 들어가보자. “왼쪽에서 (열두째/열둘째)에 있는 사람이 나야.” “이번 시험은 만점자가 많군. 이 답안지가 벌써 (열두째/열둘째)야.” 두 문장에 쓰인 ‘열두째’와 ‘열둘째’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답부터 말하자면 첫 문장은 ‘열두째’, 둘째 문장은 ‘열둘째’라고 해야 한다."위에서 열두째 줄을 읽어 보아라"처럼 쓴다. 이에 비해 '열둘째'는
열두 개째란 뜻이다. 지금까지 모두 해서 몇 개째임을 말한다.
둘째, 셋째, 넷째는 차례.수량 아울러 써
‘열두째’는 맨 처음에서 열두 번째라는 뜻이다. 차례, 순서를 말한다. “위에서 열두째 줄을 읽어 보아라”처럼 쓴다. 이에 비해 ‘열둘째’는 열두 개째란 뜻이다. 지금까지 모두 해서 몇 개째임을 말한다. “이 라인에서 발견된 불량품이 오늘만 벌써 열둘째다” 식으로 쓴다. 표준어 규정 제6항 얘기다.
말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거나 줄어들어 형태에 변화를 일으키기도 한다. 그중에서도 제6항은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사례를 담았다. 두 개의 비슷한 발음 중 하나는 버리고 다른 하나만을 표준어로 삼았다. 단수표준어의 사례다.
예전엔 ‘두째, 세째’와 ‘둘째, 셋째’를 구별해 썼다. ‘두째, 세째’는 차례를 나타낼 때, ‘둘째, 셋째’는 수량이나 개수를 나타낼 때 썼다. 하지만 언어 현실에서 이 같은 구별이 쉽지 않고 다소 인위적인 측면도 있어 이를 ‘둘째, 셋째’로 통합했다(네째/넷째도 넷째로 통일). 따라서 지금은 ‘둘째, 셋째, 넷째’가 차례와 수량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 쓰인다. 바꿔 말하면 우리말에 ‘두째, 세째, 네째’ 같은 말은 없다는 얘기다.
하지만 예외가 있다. 십 단위 이상에서는 ‘열두째, 스물두째, 서른두째’ 같은 말을 쓴다. 번째, 즉 차례를 나타낼 때 이렇게 쓴다. 이는 우리가 말을 할 때 받침 ‘ㄹ’이 분명히 탈락하는 현상을 반영한 것이다. ‘열둘’에 접미사 ‘-째’가 붙어 파생어가 만들어질 때 받침 ‘ㄹ’이 탈락하는 현상은 오래전부터 있어 왔다. 1957년 완간된 한글학회 <조선말 큰사전>에 이미 ‘열두째’란 올림말이 보인다. 이와 대비해 몇 개째(수량)란 의미로 쓸 때는 애초 통일한 취지를 살려 ‘열둘째, 스물둘째, 서른둘째’ 식으로 구별해 적는다.
표준어도 발음 바뀌는 데 따라 형태 달라져
위에서 첫째, 둘째, 셋째 등에서는 순서(차례)이든지 수량(개째)이든지 불문하고 첫째, 둘째, 셋째로 통일한다고 했다. 그런데 순서가 첫 번째나 두 번째쯤 되는 차례를 아울러 나타내는 말이 있다. 그것을 ‘한두째’라고 한다. ‘한둘째’라고 하지 않는다. 이 역시 현실 발음에서 받침 ‘ㄹ’이 분명히 탈락하므로 이를 받아들인 것이다. “극장에서 한두째 줄에 앉아 영화를 봤더니 아직까지 목이 뻐근하다”처럼 쓴다. 마찬가지로 순서가 두 번째나 세 번째쯤 되는 차례를 나타내는 말은 ‘두세째’다. ‘두셋째’는 틀린 표기다.
세 번째나 네 번째쯤 되는 차례는 어떻게 적을까? ‘서너째’와 ‘세네째’ 사이에서 고민이 될 것이다. 지난 호에 힌트가 있다. 우리말에 ‘세네’라는 말이 없다는 점을 떠올리면 된다. 설령 그것을 모르더라도 우리가 보편적으로 쓰는 말이 ‘서너 명’, ‘서너 개’라는 것을 생각하면 어렵지 않게 ‘서너’를 고를 수 있다. 이는 모국어 화자라면 직관적으로 알 수 있을 것이다.
우리말에는 이처럼 정밀한 구별을 요하는 단어가 수도 없이 많다. 별 것 아닌 거 같지만 의외로 글쓰기에서 신경이 쓰이고 간단치 않다. 하지만 따지다 보면 재미있기도 하다. 개념을 정교하게 나누고 그에 따라 용어의 쓰임새를 달리하는 것은 ‘우리말의 과학화’를 위해서도 필요한 작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