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 보나 백 보나 도망친 것은 같다는 뜻으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본질은 비슷하다는 의미-맹자
▶ 한자풀이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본질은 비슷하다는 의미-맹자
五:다섯 오
十:열 십
步:걸음 보
百:일백 백
步:걸음 보
양혜왕이 맹자를 초청해 물었다. “선생이 천 리를 멀다 하지 않고 이리 와주셨으니 저희에게 어떤 이익을 주시려는지요.” 맹자가 답했다. “어찌 이익만을 말씀하시는지요. 위로는 왕에서 아래로는 선비까지 이익만을 논하면 나라가 망합니다. 저는 인(仁)과 의(義)를 먼저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뒤통수를 맞은 양혜왕이 다시 물었다. “주변국 왕들과 견줘보면 나는 그들보다 백성을 잘 다스리고 있습니다. 한데 이웃 나라 백성들이 우리 땅으로 넘어오지 않는 까닭은 무엇인지요.”
맹자가 다시 답했다. “왕께서 전쟁을 좋아하시니 비유를 하나 들어보지요. 양쪽 군사가 북을 울리고 싸움을 하는데 한 병사가 겁을 먹고 도망을 쳤습니다. 그런데 오십 걸음쯤에서 멈춰서 백 걸음 도망친 자를 보고 비겁하다고 삿대질을 한다면 가한 일인지요?” “말이 안 되지요. 오십 보나 백 보나 비겁하게 도망친 것은 마찬가지 아닙니까.” 맹자가 속뜻을 꺼냈다. “그렇습니다. 오십 보나 백 보나 그게 그거지요. 왕께서 이웃 국가보다 정치를 잘한다고 하지만 그건 오십 보 백 보 차이입니다. 그 차이로는 백성들이 목숨을 걸고 국경을 넘지 않습니다.” 흔히 쓰는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가 생겨난 연유다.
오십보백보는 피차의 차이는 있지만 본질은 같다. 겉만 다를 뿐 속은 그게 그거다. 뿌리가 같으면 가지도 비슷하다. 생각이 고만고만하면 행동도 거기서 거기다. 한데 발상 자체를 바꾸면 얘기가 달라진다.
흔히 거꾸로 보고, 뒤집어 보고, 흔들어 보라 한다. 통념이나 상식에서 멀찍이 떨어져 사물을 바라보라는 얘기다. 옹기종기한 무리에서 벗어나라. 생각을 상자 속에 가두지 말고, 세상사를 상식이란 잣대로만 재지 마라. 상식의 잣대는 의외로 어긋남이 많다. 멀리 보고, 넓게 보고, 깊게 봐라. 창의는 거기서 나온다. 오십 보 거리에서 백 보 뒤에 있는 자를 흉보지 마라. 깃털 하나 더 들고 힘 자랑하지 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