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의 목에 거꾸로 난 비늘이란 뜻으로
건드리면 분개할 만한 치명적인 약점-한비자(韓非子)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역린 (逆 鱗)
▶ 한자풀이

逆: 거스를 역
鱗: 비늘 린


“유세가가 대신을 논하면 군주는 이간질로 여기고, 하급 관리를 논하면 권력을 팔아 사사로이 은혜를 베풀려는 것으로 여기고, 군주의 총애를 받는 자를 논하면 그의 힘을 빌리려는 것으로 여기고, 군주가 미워하는 자를 논하면 군주 자신을 떠보려는 것으로 여긴다.”

유가와 법가 사이에 징검다리를 놓은 사상가 한비는 《한비자》 세난(說難)과 난언(難言)에서 말의 어려움을 실감나게 들려준다. 그에 따르면 유세(遊說)가 어려운 것은 내 지식으로 상대를 설득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다. 유세가 진짜 어려운 건 상대의 의중을 헤아려 거기에 내 말을 맞추는 일이다.

한비는 그러면서 용 얘기를 꺼냈다. “무릇 용이란 짐승은 잘만 길들이면 등에 타고 하늘을 날 수 있다. 하지만 턱밑에 한 자쯤 거꾸로 난 비늘(逆鱗)이 있는데, 이걸 건드리면 누구나 죽임을 당한다. 유세하는 자가 군주의 역린을 건드리지만 않는다면 목숨을 잃지 않고 유세도 절반쯤은 먹힌 셈이다.” 한비는 최고의 화술은 수려한 언변이 아니라 상대의 마음을 읽는 독심(讀心)임을 강조한다. 유세의 핵심은 상대의 치명적인 약점인 역린(逆鱗)을 건드리지 않고 감싸는 것이라 한다.

동양인, 특히 한국인이 좋아하는 용이 나왔으니 용에 관한 얘기를 덧붙인다. 옛날 중국의 어떤 사람이 천만금을 주고 용 잡는 기술을 완벽히 익혔다. 한데 세상에 나와 용을 잡으려니 용이 없었다. 겉은 그럴듯해도 정작 쓰임새가 없는 것을 이르는 도룡술(屠龍術)의 배경이 된 얘기다. 대선 시즌의 단골 메뉴 잠룡(潛龍)은 《주역》이 출처다. 잠룡은 물에 잠겨 아직 날 준비가 안 된 용이고, 현룡(見龍)은 물속에서 내공을 갖춰 날 채비를 하는 용이다.

말은 곧 그 사람의 인품이다. 입으로 타인의 상처를 헤집지 마라. 손자는 “적을 포위해도 한쪽은 열어두라”고 했다. 입은 약으로 써라. 역린을 가려주는 붕대로, 상처를 치유하는 연고로 써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