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산은 원래 울창했다는 뜻으로 인간의 심성도 본래 선함을 비유-맹자
▶ 한자풀이牛: 소 우
山: 뫼 산
之: 갈 지
木: 나무 목
맹자는 본래 인간의 심성이 선하다고 믿었다.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은 인의예지의 단초다. 인간은 사단(四端)을 품고 있기에 본성이 선하다는 게 맹자의 생각이다. 이른바 성선설(性善說)은 인간을 바라보는 맹자의 따뜻한 시선이 담겨 있다.
어느 날 맹자는 제자들에게 본성이 선한 인간이 사는 세상이 왜 이리 혼탁해졌는지, 그 까닭을 들려줬다. “옛날 우산의 나무(牛山之木)는 원래 아름다웠다. 한데 큰 나라 수도의 교외에 있는 까닭에 도끼로 그 나무들을 찍어댔으니 아름다워질 수가 있겠는가. 밤낮으로 자라나고, 우로(雨露)를 받아 싹이 돋기도 하지만 다시 소와 양을 끌어다 자라는 족족 먹이니 저리 빈둥해진 것이다. 사람들은 지금 민둥산을 보고는 원래 거기에는 나무가 없었다고 생각한다.”
우산지목(牛山之木)은 말 뜻 그대로 ‘우산의 나무’지만 ‘인간 본래의 선함’을 비유한다. 인간의 본성은 원래 선하고 우산의 나무처럼 아름다운데 이기심·탐심·권력욕이란 도끼로 연일 본성을 찍어대니 어찌 선함이 유지될 수 있겠느냐는 거다. 맹자는 탄식했다. “사람은 자신이 기르던 가축이 집을 나가면 온 집안이 다 찾아나서지만 정작 양심이 마음을 떠나면 찾아나서는 사람이 없다”고.
맹자는 속세의 낮에 생긴 사특한 기운을 고요한 밤에 걸러내면 타고난 선이 간직되지만, 밤사이에도 그 기운이 걸러지지 않으면 인간은 하루하루 짐승에 가까워진다고 했다. 인간은 물질이나 권력을 얻으려고 ‘인간’을 잃어가기도 한다. 작은 이익을 취하려 중한 목숨을 버리고, 사소한 것을 쥐려고 귀한 우정을 버리면서 ‘그게 본래의 인간’이라고 자위하기도 한다. 선한 본성도 지키지 않으면 조금씩 사라지고, 악함도 수시로 돌아보고 깨우치면 선 쪽으로 다가간다.
신동열 한경경제교육연구소 연구위원 shin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