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국시대 6개국의 외교술로 이해에 따라 뭉치고 흩어진다는 뜻-사기
▶ 한자풀이合: 합할 합
從: 좇을 종
連: 잇닿을 연
衡: 가로 횡
중국 전국시대 강대국 진(秦)·연(燕)·제(齊)·초(楚)·한(韓)·위(魏)·조(趙)의 ‘전국칠웅(戰國七雄)’은 한 해가 멀다하고 전쟁을 치렀다.
서쪽 대부분을 진나라가 차지하고 나머지 여섯 나라가 동쪽을 분할한 시기. 귀곡자에게 수학한 소진(蘇秦)과 장의(張儀)는 세 치 혀로 명성을 날렸다. 소진이 동쪽 여섯 나라를 돌며 설득했다. “약한 나라가 뭉치지 않으면 바로 망합니다. 여섯 나라가 한마음으로 맞서면 진도 어쩔 수 없을 것입니다.” 이치 있는 논리였다. 남북 나라들이 하나가 된다는 의미의 합종(合從)으로 군사동맹을 성사시킨 소진은 그 공로로 여섯 나라 재상직을 겸했다.
1 대 6의 균형이 유지되고 있을 때 장의가 연횡(連衡)을 들고 나왔다. 장의는 약한 나라들끼리 손을 잡는 것보다 강한 진나라와 화친을 맺어야 백성이 안전하다고 주장했다. 고만고만한 남북의 종(從)보다 강자와 손을 잡는 동서의 횡(衡)이 생존에 도움이 된다는 논리였다. 이 또한 이치 있는 설득이었다. 장의의 ‘개별격파’가 먹혀들면서 소진의 합종책은 곳곳에서 균열이 생겼다. 외교술이 탁월한 사람을 종횡가라고 부르는 것은 《사기》에 나오는 합종연횡(合從連衡)이 뿌리다. 전쟁에선 혀보다 칼이 더 위력이 센 법이다. 진은 합종을 무너뜨린 뒤 여섯 나라를 차례로 멸망시켜 중국 천하를 거머쥐었다.
합종연횡은 흔히 정치권이 이해관계에 따라 뭉치고 흩어지는 것을 일컫는다. 기업들이 시너지 효과를 내거나 경영권 방어를 위해 손을 잡는 경우에도 자주 쓰인다. 제휴도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다. 하지만 뭉치고 흩어짐에 너무 이익만을 좇으면 자칫 올바른 길을 잃는다.
신동열 한경경제교육연구소 연구위원 shin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