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편의점이 등장한 지 올해로 30주년을 맞았다. 1988년 코리아세븐 법인이 설립된 해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편의점 1호는 1989년 서울 방이동에서 개점한 세븐일레븐 올림픽점이었다. 지금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게 된 동네 구멍가게들이 즐비하던 시절에 편의점은 깨끗한 인테리어에다 젊고 친절한 직원, 하루 24시간 운영으로 ‘신기한 고급 슈퍼’로 등장 자체가 화제였다.
30년이 된 지금, 편의점은 우리 생활에서 아주 흔하고 편리하게 생필품을 구입하는 ‘국민 유통채널’로 자리 잡았다. 1989년 7개에 불과했던 매장은 올해 3월 4만 개를 넘어섰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집에서 몇 m만 걸어 나가면 편의점이 눈에 띌 정도로 대중화됐다.
주목할 것은 편의점의 진화다. 초창기 간편한 삼각김밥과 도시락으로 한 끼 식사를 해결해주던 차원을 넘어 이제는 택배, 금융, 세탁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생활 플랫폼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유통 혁신과 물류 혁신을 이끄는 아이콘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국내 편의점 밀집도는 인구 1300명당 1개로 ‘편의점 대국’으로 불리는 일본(2200명당 1개)을 넘어섰다. BGF리테일이 운영하는 CU(점포 수 1만2735개), GS리테일의 GS25(1만2635개), 코리아세븐이 운영하는 세븐일레븐(9371개)에 이어 신세계 이마트24(2949개)가 가세하고 농협도 새로 진출하는 등 여전히 확장일로다. 출혈 경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지만 그만큼 편의점의 성장 잠재력, 혁신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편의점이 ‘혁신의 아이콘’으로 부상했지만 여전히 규제가 많아 그 잠재력을 다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에는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여파가 상당하다. 유통 규제와 근로시간 단축 등으로 어떤 영향을 받는지, 해외 선진국에선 어떻게 대처하고 발전하고 있는지 4, 5면에서 자세히 알아보자.
이유정 한국경제신문 생활경제부 기자 yjlee@hankyung.com
30년이 된 지금, 편의점은 우리 생활에서 아주 흔하고 편리하게 생필품을 구입하는 ‘국민 유통채널’로 자리 잡았다. 1989년 7개에 불과했던 매장은 올해 3월 4만 개를 넘어섰다. 지방 소도시에서도 집에서 몇 m만 걸어 나가면 편의점이 눈에 띌 정도로 대중화됐다.
주목할 것은 편의점의 진화다. 초창기 간편한 삼각김밥과 도시락으로 한 끼 식사를 해결해주던 차원을 넘어 이제는 택배, 금융, 세탁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생활 플랫폼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유통 혁신과 물류 혁신을 이끄는 아이콘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국내 편의점 밀집도는 인구 1300명당 1개로 ‘편의점 대국’으로 불리는 일본(2200명당 1개)을 넘어섰다. BGF리테일이 운영하는 CU(점포 수 1만2735개), GS리테일의 GS25(1만2635개), 코리아세븐이 운영하는 세븐일레븐(9371개)에 이어 신세계 이마트24(2949개)가 가세하고 농협도 새로 진출하는 등 여전히 확장일로다. 출혈 경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지만 그만큼 편의점의 성장 잠재력, 혁신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편의점이 ‘혁신의 아이콘’으로 부상했지만 여전히 규제가 많아 그 잠재력을 다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에는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여파가 상당하다. 유통 규제와 근로시간 단축 등으로 어떤 영향을 받는지, 해외 선진국에선 어떻게 대처하고 발전하고 있는지 4, 5면에서 자세히 알아보자.
이유정 한국경제신문 생활경제부 기자 yjlee@hankyung.com